![](https://img.etoday.co.kr/pto_db/2022/08/600/20220818141930_1788099_516_608.jpg)
찍다 보니 11년이 흘렀다. 천재적인 음악성을 지녔지만 자폐장애인으로 일상생활이 어려운 피아니스트 은성호 씨, 모든 인생을 걸어 큰 아들을 헌신적으로 돌보는 엄마 손민서 씨, 그리고 두 모자의 특별한 관계를 영 못마땅해하는 비장애인 둘째 아들 은건기 씨까지 세 명의 가족을 오랜 시간 지켜본 다큐멘터리 ‘녹턴’이 18일부터 관객과 만난다. 타인의 내밀한 가정사에 무려 11년 동안 카메라를 들이댄 집념의 결과물을 선보이는 정관조 감독과 개봉 당일 서울 명동에서 만나 그 길고 특별한 여정을 전해 들었다.
정 감독과 은성호 씨 가족의 첫 만남은 2008년 6월 KBS에서 방영된 ‘휴먼다큐 사미인곡’을 통해 이뤄졌다. 정 감독은 "(은)성호의 맑고 순수한 음악을 들으면 마음이 편해졌다. 사람들에게 성호의 잠재력을 알리고 싶었다"고 했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22/08/600/20220818142228_1788110_1200_675.jpg)
은성호 씨와의 소통 과정이 쉽지만은 않았다. "영화 한 편을 보거나 글 한 편을 읽어도 줄거리를 전혀 모른다. 추상적인 사고 능력이 제대로 발달되지 않아 대화가 잘 안됐다"고 했다. 대신 "지하철 노선도를 순서대로 외우고, 본 영화 제목만 3만 개를 쓰는 등 데이터베이스를 좋아했다. 음악도 (음계를 읽고 계산해 연주한다는 점에서) 잘할 수 있었던 것 같다"고 촬영 당시를 돌이켰다.
은성호 씨 가족과 연락을 주고 받던 정 감독이 다시 카메라를 든 건 2013년 은성호 씨 동생 은건기 씨를 만나면서다. 형을 무시하고 엄마를 미워하던 그는 당시 가출 상태였다고 한다.
"집을 나와서 너무 어려운 상황이라고 하는데, 좀 보듬어주고 싶었어요. 고등학생 때부터 저를 많이 따르고 믿었거든요. 물론 촬영하는 동안 제 애를 너무 많이 먹이기도 했죠. 기분 좋으면 촬영하고, 안 좋으면 안 하고… '녹턴' 포스터도 찍으러 안 왔어요."
![](https://img.etoday.co.kr/pto_db/2022/08/600/20220818142207_1788107_1200_800.jpg)
장편 다큐멘터리 '녹턴'은 은건기 씨의 분량으로 입체성을 확보한다. 천재적인 음악성을 지닌 자폐장애인 형 은성호 씨의 성공기를 다루는 단순한 접근을 넘어, 그와 함께 살아가는 가족이 경험하는 지난한 현실을 함께 다루는 까닭이다. 특히 비장애인 형제인 은건기 씨가 느끼는 소외감과 불만, 보호자인 엄마가 죽고 난 뒤 자신이 그 책임을 이어받아야 한다는 부담감 등이 솔직하게 드러난다.
"건기 표현대로 말하면 '형은 엄마가 키우고 있는 아바타 캐릭터'예요. 바이올린, 클라리넷, 피아노 같은 비싼 아이템을 장착해주죠. 그런데 플레이어인 엄마가 죽고 나면 그 아바타의 아이템은 누군가에게 강도당한다는 거예요. 그러니 엄마가 헛수고를 한다고 생각하는 겁니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22/08/600/20220818142218_1788109_1200_675.jpg)
여행 가이드 생활을 하며 해외를 유랑하는 은건기 씨는 그럼에도 가족들과 완전히 연을 끊지는 않는다. 때문에 자폐장애인 가족 구성원을 대하는 엄마와 동생의 어떤 입장 차이가 더욱 가감 없이 표출된다.
"건기는 도대체 왜 집을 자꾸 들락날락할까요. 그냥 집을 나가서 인연 끊고 살면 되는데요. 문제는 건기가 엄마를 너무 좋아하고 사랑한다는 거죠. 출국하기 전에는 엄마가 해주는 밥을 먹으러 옵니다. 그런 엄마를 형에게 완전히 빼앗겼으니 미움도 서운함도 클 수밖에 없었겠죠."
이같은 내용은 2018년 '서번트 성호를 부탁해'라는 제목의 SBS 2부작 방송다큐멘터리로 일부 공개됐다. 촬영 기간이 너무 길어지자 사비를 털어 제작비를 마련하는 데 한계가 생겼고, 각종 방송 지원금을 받은 대신 일부 분량을 방영권 판매 형태로 공개했다.
"그때 영화 '녹턴'의 약 30% 정도가 공개됐어요. 촬영 기간이 11년에 달하다 보니 양이 워낙 방대해요. 최종 편집본을 7시간짜리, 5시간짜리로 점점 줄이면서 좋은 장면도 많이 잘랐습니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22/08/600/20220818142239_1788111_1200_675.jpg)
'녹턴' 말미에는 은건기 씨가 형의 러시아 공연 길에 동행하는 여정이 담긴다. 면도하는 법을 가르쳐주고, 리허설 때 생기는 예상치 못한 문제도 직접 나서서 해결해준다. 어떤 연유로 그에게 마음의 변화가 생긴 건지, 영화는 콕 짚어 말하지 않는다. 다만 "똑같은 일상을 모으니 크고 묵직한 힘을 발휘된 것"이라는 정 감독의 말처럼, 시간의 흐름 사이에 녹아 든 일련의 감정 변화가 자연스럽게 감지될 뿐이다.
"인류 최대의 난제가 가족이라는 말이 있잖아요. 겉으로는 미워하는 것 같지만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가 가족 아닌가 싶어요. '녹턴'은 그중에서도 최선의 힘을 다해 살아가려는 가족의 이야기죠. 제 황금 같은 10년을 들였지만, 아깝지 않은 작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