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7월 물가 24년 만에 6.3% 급등…두 달 연속 6%대

입력 2022-08-02 09:08수정 2022-08-02 17:5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생활물가지수, 23년 8개월 만에 최대 상승…"공업제품·개인서비스 오름세 지속"

▲2022년 7월 소비자물가동향. (자료제공=통계청)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3% 급등했다. 약 24년 만의 최고 상승률이다. 유가 급등세가 완화하면서 석유류 등의 오름폭은 둔화했지만, 외식 등 개인 서비스와 농·축·수산물의 상승 폭이 확대돼 두 달 연속 6%대를 기록한 것이다.

통계청은 2일 발표한 7월 소비자물가 동향에서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가 108.74(2020=100)로 전년 동월 대비 6.3% 상승했다고 밝혔다. 외환위기였던 1998년 11월(6.8%) 이후 23년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소비자 물가지수 추이 (손미경)

6월(6.0%)에 이어 7월에도 6%대를 넘어섰고, 전월보다 상승 폭이 커졌다. 물가 상승률이 두 달 연속 6% 이상을 기록한 것은 1998년 10월(7.2%), 11월(6.8%) 이후 23년 8개월 만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0월(3.2%)부터 5개월 연속 3%대를 유지하다가 올해 3월(4.1%)에 4%대를 넘어섰다. 5월(5.4%)에는 5%대를 넘어섰고, 6월부터는 6%대를 기록하며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물가의 기조적인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석유류 제외지수)는 1년 전보다 4.5% 올랐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에너지 제외지수는 3.9% 상승했다. 각각 2009년 3월(4.5%), 2009년 2월(4.0%) 이후로 가장 높은 수치다. 체감 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지수도 1년 전보다 7.9% 올라 1998년 11월(10.8%) 이후로 가장 높은 상승 폭을 보였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석유류 등 공업제품과 외식 등 개인서비스 가격이 높은 오름세를 지속한 가운데, 채소 등 농·축·수산물과 전기·가스·수도 요금도 오름세가 확대되면서 전년 동월대비 6.3%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어 "전월과 비교해선 채소 등 농산물과 개인서비스 가격 등이 오르면서 0.5% 상승했다"며 "다만, 석유류와 돼지고기 등 축산물 가격이 하락 전환하면서 상승세가 조금 둔화하는 모습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