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B, 한국 올해 성장률 2.6%로 낮춰…물가는 4.5%로 상향

입력 2022-07-21 09: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ADB, '아시아경제전망 보충' 보고서 발표…"금리 인상·세계경제 성장세 약화가 제약 요인"

▲2022년, 2023년 ADB 지역별 성장률·물가상승률 전망. (자료제공=기획재정부)

아시아개발은행(ADB)이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0에서 2.6%로 낮췄다. 올해 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4.5%로 상향 조정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ADB는 21일(현지시간) '2022년 아시아경제전망 보충' 보고서에서 이같은 전망을 발표했다.

ADB는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4월 연간 전망보다 0.4%포인트(P) 낮은 2.6%로 하향 조정했다. 물가상승률은 4월 전망치보다 1.3%P 높은 4.5%로 올려 잡았다. ADB의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정부가 지난달 발표한 전망치와 같다. 4월 국제통화기금(IMF)의 전망치(2.5%)보다는 0.1%P 높고, 한국은행의 전망치보다는 0.1%P 낮다.

ADB는 한국의 성장률 하향과 관련해 "견조한 대외수요가 소비·투자 둔화를 상쇄했지만, 향후 금리 인상 및 세계경제 성장세 약화가 제약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ADB의 올해 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정부의 전망치(4.7%)보다는 0.2%P 낮고, 한국은행의 전망치와 같다. IMF의 최근 전망치(4.0%)보다는 높다. 물가상승률은 국제 상품가격 상승과 코로나19 이후 소비 급증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상향 조정했다고 ADB는 전했다.

ADB는 내년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과 같은 2.6%로 제시했고, 내년 물가상승률은 기존보다 1.0%P 높은 3.0%로 상향 조정했다.

ADB는 이번 보충 전망에서 46개 아시아 개도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4월 연간 전망보다 0.6%P 하향한 4.6%로 전망했다. 내년 성장률도 0.1%P 낮춘 5.2%P로 하향 조정했다. ADB는 "역내 코로나19 영향 완화에도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공급 충격과 미국·유럽연합(EU) 등 주요국의 공격적인 통화 긴축의 영향을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시아 개도국의 물가상승률은 유가와 식품 물가 상승으로 4월 전망보다 0.5%P 높아진 4.2%로 예측했다. 내년 물가상승률도 0.4%P 높은 3.5%로 상향 조정했다. 다만 다른 지역에 비해서는 상승세가 낮을 것으로 전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