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국내 OTT와 손잡고 ‘HDR10+’ 콘텐츠 확대

입력 2022-07-20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HDR10+, 장면마다 밝기ㆍ명암비 최적화
왓챠ㆍ티빙 등 OTT 인기 콘텐츠에 적용

▲삼성전자가 주도하고 있는 영상 표준 기술인 HDR10+를 적용해 최근 방영한 티빙 콘텐츠. 티빙은 지난 해부터 HDR10+를 적용하기 시작해 티빙 오리지널 콘텐츠인 '서울체크인', '돼지의 왕','술꾼 도시 여자들', '괴이' 등 총 40여 개의 HDR10+ 콘텐츠를 제공할 예정이다. (사진제공=삼성전자)

삼성전자가 티빙, 왓챠 등 국내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업체들과 손잡고 HDR10+ 콘텐츠 확산에 박차를 가한다.

20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HDR 콘텐츠의 저변 확대를 위해 삼성전자가 자체 개발한 HDR10+ 콘텐츠 전환 소프트웨어를 지난 2019년부터 무상으로 배포해왔다.

CJ 올리브네트웍스를 비롯한 왓챠ㆍU5K 이미지웍스ㆍ캔딧 스튜디오 등 다수의 영상 콘텐츠 업체가 이를 활용 중이다.

HDR10+는 삼성전자가 주도하고 있는 영상 표준 기술로 TV나 모바일 등에서 디스플레이의 성능을 고려해 장면마다 밝기ㆍ명암비를 최적화한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8년 HDR10+ 생태계 확장을 위해 ‘HDR10+ 테크놀로지’(HDR10+ Technology LLC)라는 회사를 설립하고 HDR10+ 인증ㆍ로고 프로그램 운영과 기술 지원에 힘쓰고 있다.

현재 TVㆍ디스플레이 업체, SoC(시스템 온 칩) 제조사, 콘텐츠 제작사 등 139개 회원사가 약 5000개 이상의 인증 모델을 출시했다.

지난 2020년부터 HDR10+ 콘텐츠를 서비스해 온 왓챠는 오리지널 시리즈인 ‘한화이글스: 클럽하우스’ 등 30여 편의 영화와 TV 프로그램에 HDR10+를 적용하고 있다.

티빙 역시 2021년부터 HDR10+를 적용하기 시작해 최근 방영한 티빙 오리지널 콘텐츠 △서울체크인 △돼지의 왕 △술꾼도시여자들 △괴이 등을 포함해 총 40여 개의 HDR10+ 콘텐츠를 제공할 예정이다.

용석우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부사장은 “삼성전자가 개발한 영상 표준 기술인 HDR10+가 국내 최고의 콘텐츠 공급 업체들의 작품에 꾸준히 적용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업체들과의 파트너십을 적극적으로 확대해 국내 콘텐츠 산업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