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만에 열린 ‘대한상의 제주포럼’…전국 상공인 600여 명 몰려

입력 2022-07-13 17:1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대한상공회의소는 13일부터 2박 3일간 해비치 호텔&리조트 제주에서 ‘제45회 대한상의 제주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대한상의 제주포럼은 1974년 여름 ‘제1회 최고경영자대학’으로 시작됐다. 해마다 경제, 사회, 문화, 해외 명사를 초청하여 경영환경을 분석하고 기업의 대응방안을 논하는 ‘경제계 최대 행사’로 자리매김했다.

코로나로 3년 만에 다시 열린 제주 포럼에는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을 비롯해 장인화 부산상의 회장, 이재하 대구상의 회장, 심재선 인천상의 회장, 정태희 대전상의 회장 등 전국 상의 회장단과 기업인이 600여 명이 대거 몰렸다.

대한상의 측은 “이번 제주포럼은 많은 기업인이 한꺼번에 몰려 접수마감 8일 전에 조기 마감되는 진풍경을 겪기도 했다”며 “코로나로 인해 3년 만에 열렸고, 복합위기에 대한 명사들의 해법을 듣고자 하는 이들의 수요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했다.

첫날 추경호 경제부총리는 ‘새 정부 경제정책 방향’ 강연을 통해 글로벌 공급망 불안, 성장률 둔화, 인플레이션 등 복합 리스크라는 경제 상황에서 성장 활로를 찾기 위한 윤석열 경제팀의 지원방향을 제시했다.

한국의 지정학적 리스크와 경제의 현주소를 진단할 해외 석학들의 통찰도 제시됐다. ‘붕괴-금융위기 이후 10년, 세상은 어떻게 바뀌었나’의 저자로 알려진 세계적인 경제사학자 애덤 투즈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가 직접 내한해 ‘포스트 워(Post War) 시대’를 전망했다.

한국 경제의 현주소를 설명하는 데는 신용석 미국 세인트루이스 워싱턴대학교 교수가 나섰다. 이 외에도 최근 맥킨지 한국사무소 대표에 오른 송승헌 대표는 글로벌 경영환경 변화에도 한국기업들이 살아남을 원포인트 레슨을 갖는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거대한 도전을 새로운 기회로 만들기 위한 ‘새 정부 산업정책 방향’을 설명한다.

‘축적의 시간’의 저자 이정동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교수는 모방이 아닌 창조, 추격이 아닌 개척을 위한 과제는 무엇인지 ‘기술선진국의 자격’을 강연한다. 최병일 이화여대 교수는 다자주의 붕괴로 급격히 재편되고 있는 국제 통상 질서 속에서 기업과 한국경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코로나, 경기 부진에 지친 기업들을 위한 시간도 갖는다. MZ 세대 기업인 뉴닉의 김소연 대표는 여러 세대가 직장 내에서 소통하고 공존하는 방법을 사례를 들어 설명한다. 김세규 비브스튜디오스 대표는 ‘기술과 인문학의 만남’을 소개하고, 국내 비만 분야 최고 권위자인 강재헌 강북삼성병원 교수의 ‘CEO의 건강관리’ 강연, 양정무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의 ‘명작을 보는 1%의 눈’ 강연이 이어진다. 가수 신승훈의 ‘제주의 푸른 밤’ 콘서트, 나만의 라탄가방 만들기 체험, 아침을 여는 요가 교실, 동안을 만들어주는 스킨케어 비법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이어진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