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세계 100대 ICT 기업 한국기업 단 2개, 주요 경쟁국에 모두 뒤져”

입력 2022-07-12 0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국이 ICT 강국이란 타이틀과 달리, 세계 100대 ICT 기업 중 한국 기업은 단 2개에 불과해 중국, 일본, 인도, 대만 등 ICT 경쟁국에 모두 뒤쳐진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전경련)

한국이 정보통신기술(ICT) 강국이란 타이틀과 달리, 세계 100대 ICT 기업 중 한국 기업은 단 2개에 불과해 중국, 일본, 인도, 대만 등 ICT 경쟁국에 모두 뒤처진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기업분석 데이터베이스인 S&P 캐피탈(Capita)l IQ를 통해 세계 ICT기업 시총 100대 기업을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시가총액 순위로 뽑은 세계 100대 ICT 기업에 한국은 2개 기업(삼성전자 9위, SK하이닉스 56위)만이 이름을 올려, 중국, 일본, 인도, 대만 등 ICT 경쟁국에 모두 뒤진 것으로 나타났다. 100대 ICT 기업 중 미국기업이 56개로 절반을 차지한 가운데 중국 9개, 일본 8개, 인도 4개, 대만 3개 기업이 포함됐다.

향후 100대 기업에 진입할 차세대 주자들로 구성된 200대 기업까지 범위를 넓혀보면 중국기업 수가 27개로 급격히 증가, ICT 차세대 리더그룹에 많이 포진해있었다. 일본기업 또한 17개가 포함돼 일본 ICT 잠재력이 여전히 건재함을 드러낸 반면, 한국기업은 네이버, 카카오 등 신흥 디지털 기업들이 추가되어 5개 삼성전자(9위), SK하이닉스(56위), 삼성SDI(114위), 네이버(120위), 카카오(133위)에 그쳤다.

한국경제를 지탱하고 있는 반도체 산업의 시가총액 기준 세계 100대 기업에 한국 기업은 2개사가 포함, 중국 41개사, 미국 31개사, 대만 15개사 등 경쟁국보다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SK하이닉스(11위)와 SK스퀘어(63위) 등 2개사만이 이름을 올렸는데, SK스퀘어가 SK하이닉스의 모회사인 투자기업인 점을 감안하면 사실상 1개사인 셈이다. 업종 분류상 ‘기술 하드웨어’로 분류된 삼성전자(전 세계 시가총액 9위)를 포함하더라도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한국의 반도체 기업은 총 3개사에 불과한 것으로 시장은 평가했다.

국내 기업의 매출액 대비 R&D 투자비중은 7.4%로 경쟁국인 미국(17.1%), 네덜란드(15.4%), 일본(13%), 대만(9.5%)보다 매우 낮아 반도체의 미래경쟁력을 낙관할 수만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일본은 ‘19년 3.5% 불과했던 매출액 대비 R&D 투자비중을 2년 만에 급격히 늘리며 국가 차원에서 공격적으로 반도체 부활 전략을 펼치고 있다. 일본은 반도체 확보를 골자로 하는 ‘경제안전보장추진법’을 통과(2022년)시켰고, 대만 TSMC 신공장과 연구개발센터를 자국에 유치(2021년)했으며 이 과정에서 약 4950억엔(한화 약 4조7000억 원) 규모의 정부지원금을 투입했다. 미국 역시, 바이든 행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520억 달러(한화 약 68조 원) 규모의 반도체지원법(CHIPS) 통과 시, 반도체 분야에 대한 투자가 더욱 활발해질 전망이다.

주요국이 반도체에 국가재원을 적극 투입하는 것에 비해 한국의 상황은 다소 아쉬운 편이다. 전경련이 OECD로부터 제공받은 주요 글로벌 반도체기업의 매출 대비 정부지원금 비중 통계(2014년~2018년)에 따르면, 중국 SMIC 6.6%, 미국 마이크론 3.8%, 네덜란드 NXP 3.1%에 비해 한국은 가장 낮은 수준(삼성전자 0.8%, SK하이닉스 0.5%)을 기록했다.

ICT산업 내 5대 세부업종별로 각각 시가총액 기준 상위 100대 기업을 살펴본 결과, 한국은 반도체,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모든 ICT 핵심 산업에서 각 1~2개 기업만이 포함돼, ICT 세계 무대에서 존재감이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이후 마지막 하드웨어의 시대가 가고 소프트웨어 경쟁력이 높아졌으며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는 추세로 보여진다. 한국 ICT 상장기업들의 업종구성은 1위 전자부품, 2위 반도체 장비, 3위 반도체(세부사항 별첨)일 정도로 한국 ICT는 아직까지도 제조 하드웨어 중심으로 ICT 분야가 소프트웨어 경쟁력으로 재편되는 과정에서 그 입지가 줄어들 전망이다.

코로나 발생 이후 ICT 톱5 업종에 전격 진입한 시스템 소프트웨어 글로벌 100대 기업에 한국은 더존비즈온(74위), 안랩(82위) 등 2개 기업만이 이름을 올렸다. 코로나 영향으로 비대면 경제가 본격화하고 디지털 대전환이 이루어지면서 보안 산업에 큰 기회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러-우크라 전쟁이 전산망과 주요 국가 시스템 공격 등 사이버전으로 확대되면서 구글이 사이버보안 기업 맨디언트를 ’12년 모토로라(125억 달러)에 이은 역대 두 번째 규모인 54억 달러에 인수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시스템 소프트웨어 톱100 기업이 주로 분포한 국가는 미국(34개사), 중국(32개사), 이스라엘(6개사), 일본(5개사) 등이다. 시가총액 합계 기준으로는 미국(34개 기업)이 한국(2개사)의 1,741.4배에 달했다. 중국(37.4배)과 이스라엘(21.1배) 역시 시가총액 합계 기준 한국과 시스템소프트웨어 분야의 경쟁력 차이가 상당했다. 특히 이스라엘과 일본, 폴란드는 100대 기업에 진출한 기업 수는 적으나, 기업 1개사 평균 매출액이 높아 실적이 뛰어난 알짜기업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코로나 이후 화상회의의 확산으로 Zoom(중국) 등이 급부상했던 ICT 2대 업종인 앱 소프트웨어 분야 100대 기업에도 한국기업은 전무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본부장은 “한국이 IT 강국이라지만 세계시장이라는 냉혹한 전쟁터에서의 성적표는 다른 결과를 말한다”며 “우리 경제의 디지털화 속도가 생각보다 느리고 사실상 소프트웨어 분야 경쟁력도 낮다는 점이 우려되는 것이 사실”이라며 이어서 “차세대 업종인 사이버안보의 경우 지난 5월 한미정상회담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양국 협력을 강조할 정도로 유망한 분야로 예상되는 만큼 한국 기업이 국제무대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투자를 비롯해 관련 각종 제도 정비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

Warning: Use of undefined constant PRODUCTION_IP - assumed 'PRODUCTION_IP' (this will throw an Error in a future version of PHP) in /service/web/m/2024/www/view.php on line 1056

Warning: Use of undefined constant SERVER_IP - assumed 'SERVER_IP' (this will throw an Error in a future version of PHP) in /service/web/m/2024/www/view.php on line 10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