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탄소중립 목표로 2050년까지 녹색건축물 100% 보급

입력 2022-07-11 10:0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서울 중구 서울시청 전경 (사진제공=서울시)

서울시는 2050년까지 서울시 녹색건축 정책 비전과 기본방향을 제시하는 ‘제2차 서울특별시 녹색건축물 조성계획’을 발표한다고 11일 밝혔다.

제2차 서울특별시 녹색건축물 조성계획은 서울시 녹색건축 정책의 추진 방향이 담긴 종합계획이다. 시는 완성도 있는 계획 수립을 위해 전문가, 시민 의견, 건축물 운영 현장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을 수렴했다. 2050년 서울의 탄소 중립 기반을 마련하고 시민과 함께 하는 녹색건축 활성화를 목표로 5대 전략, 16개 정책과제를 수립했다.

먼저 국가적 목표인 2024년보다 앞선 내년부터 신축 민간 건축물을 대상으로 ‘제로에너지건축물’ 의무화에 나선다. 대규모 신축에 우선 적용하고 점차 소규모 건축물까지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또한, 공공기관은 제로에너지건축물에 우선 입주하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기존 건축물 성능도 보강한다. 공공 건축물과 임대주택의 창호, 단열 설비 등을 교체하는 ‘그린 리모델링’을 비롯해 민간건축물 에너지 효율화, 희망의 집수리 등의 사업을 확대해 온실가스 배출을 줄여나갈 방침이다.

이와 함께 ‘녹색건축물 관리방안’을 별도로 마련한다. 시는 녹색건축물의 전 생애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성능을 추적 관리한다. 녹색건축의 지속적인 발전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녹색건축 기금’도 조성한다. 기금은 신기술 연구, 인센티브 기준 개선, 인허가권자 교육 등 녹색건축에 대한 인식을 확대하고 제도의 실효성을 확대하는 데 활용된다. 시민이 이해하기 쉬운 ‘녹색건축 교육자료’도 배포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이번 ‘2차 조성계획’을 통해 2030년까지 △녹색건축 90% 보급 △온실가스 42% 감축(2018년 대비) △315만 명 고용창출 등을 추진한다. 2050년까지는 △녹색건축 100% 보급 △온실가스 82%(2018년 대비) △1016만 명 고용창출 효과 등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성보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제1차 조성계획에서 녹색건축물 보급에 중점을 뒀다면 이번에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구체적 실행방안 및 관리의 지속성에 초점을 맞췄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