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세계박람회 유치위 내달 국무총리실에 신설

입력 2022-05-31 14:59수정 2022-05-31 1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산업부·해수부·외교부 등 회원국 대상 전방위 유치전 및 기반 조성

▲사진은 지난달 22일 윤석열 대통령(당시 당선인)이 부산 부산진구 부산상공회의소에서 열린 경제계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기원 대회에 참석해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과 악수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위원회가 내달 신설되며, 부산항 북항 통합 1단계 재개발 사업으로 올해 말까지 부지조성 공사를 완료한다.

정부는 31일 부산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30 세계박람회 유치전략회의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산업통상자원부는 2030 부산세계박람회 범국가 유치 전략 △외교부는 유치교섭계획 △해양수산부는 부지조성계획을 각각 발표했다.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지원 민간위원회 출범식도 함께 열렸다.

산업부, 총리실에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위 신설

우선 산업부는 범부처 유치역량 강화를 위해 국무총리 소속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위원회를 내달 신설한다.

또 열린 경제강국, 최첨단 산업강국, 창의적 문화강국 등 우리의 3대 강점을 부각해 유치활동 전개한다. 국제박람회기구(BIE) 총회 PT, 유치계획서, 현지실사 등 주요 유치일정에 우리의 3대 강국 브랜드를 적극 활용해 세계박람회 부산 개최 필요성을 설명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민관 해외네트워크도 총동원한다. 정부, 기업, 공공기관, 지자체 등의 4대 협력채널을 활용하여 BIE 170개 회원국 대상 전방위 유치 노력 강화한다.

해수부, 올해 부산항 북항 통합 1단계 재개발 사업으로 부지조성 공사 완료

해수부는 2030 세계박람회 부지조성 계획을 통해 박람회 예정부지인 부산항 북항의 통합 재개발 사업(1단계, 2단계)을 추진한다.

1단계 재개발사업은 올해 말까지 부지조성 공사를 완료하고, 교통, 공연, 관광 등 박람회 유치를 위한 주요 기반시설을 확충한다. △교통 관련 지하차도(2024년6월), 복합환승센터(2026년11월), 트램(2027년7월) △공연 관련 오페라하우스(2024)△관광 관련 마리나(2023년초 준공), 상업·숙박(2027년까지 단계적 개장) 등을 조성한다.

부산항기념관(2024년12월), 해양레포츠컴플렉스(2024년12월) 등의 공공시설도 단계적으로 개장해 1단계 지역을 해양관광중심지로 조기 활성화할 계획이다.

2단계 사업(박람회 전시관 부지)의 경우, 예비타당성조사를 조기에 완료해 BIE 현지실사 과정에서 우리나라의 준비상황을 강점으로 부각한단 전략이다.

또 2단계 부지 내에 있는 항만시설 및 철도시설을 2027년까지는 이전·재배치해 박람회가 개최될 경우 부지 조성 및 전시관 건립공사가 차질 없이 준비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외교부, 105개 재외공관 통한 유치활동

외교부는 주요 국제행사 계기를 적극 활용해 부산박람회 유치 활동을 전개하고, 105개 재외공관을 통한 유치활동 및 주한외교단에 대한 홍보를 강화한다.

모든 고위급 인사들의 외교활동 계기에 부산박람회 지지를 필수의제로 반영하는 등 적극 홍보하고, 주요 BIE 회원국에 인지도와 영향력 있는 인사를 부산박람회 특사로 파견하기로 했다.

아울러 이날 전략회의 직전에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지원 민간위원회 출범식도 열렸다. 유치지원 민간위원회에는 대한상의를 중심으로 삼성, SK, 현대차 등 주요 기업, 전국 72개 지역상공회의소, 해외한인기업협회가 참여했다. 기업은 해외 진출 국가 대상 중점 유치 교섭, 비즈니스 포럼 개최, 유통망을 활용한 홍보 등 박람회 유치활동을 적극 지원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