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 상담소] 술로 가려진 ‘자기감’, 마음 회복이 중요

입력 2022-05-31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김현주 서울 강서구보건소 사회복지사

야외활동을 하기 딱 좋은 계절이 왔다. 2년 1개월 만에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 사적모임 등의 인원 제한이 모두 사라졌다. 날이 풀리고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되면서 임대아파트 단지에는 사라졌던 술판이 다시 살아났다. 관리사무소 직원들의 걱정도 다시 시작되었다. 늘상 그랬듯이 임대아파트 단지 내에 술판이 벌어지면 그동안 혼술을 하던 사람들이 하나둘 어울릴 것이고, 처음에는 주민들 간 담소를 나누고 서로 소통하는 화기애애한 모임이 시간이 지나고 음주량이 늘어나면 과격해지고 사나워져 크고 작은 사고로 이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술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 없을까요?” 몇 년째 똑같은 질문을 받고 있지만 딱히 방책이랄 만한 묘안이 떠오르지 않는다. “그러게요. 사례관리도 하고 자조모임도 진행하고 있지만 본인의 의지가 선행되어야 하는 문제이다 보니 쉽지가 않네요. 끊임없이 관심을 가져야 하고 시간이 필요해요”라는 말밖에 할 수 없어 늘 미안하기만 할 뿐이다.

술은 우리에게 정서적으로 친숙하다. 기쁠 때도 슬플 때도 우리는 술을 찾는다. 사람들과의 친목을 도모하는 매개체이기도 하고 외롭고 우울한 기분을 달래기 위한 자가치료의 일환으로 술을 마시는 경우도 많다. 술판에 모이는 사람들의 경우 1인가구이면서 기초생활수급자이다 보니 술 의존도가 높은 것도 사실이다. 게다가 시간은 많고 할 일은 없다 보니 술 의존도는 더 높아지기 마련이다. 외롭다 보니 술판에 모여 사람들과 부대끼며 사람의 정을 느끼는 것이 사는 낙인 사람도 있어 술판을 탓할 수만도 없다. 문제는 개중에 우울로부터 오는 슬픔, 무기력함, 외로움, 자살 충동 등으로부터 도망치기 위해 술을 마신다는 점이다.

그들의 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술에 가려진 마음의 상처를 먼저 들여다봐야 한다. 마음이 건강하지 못하면 자신의 감정을 인정하고 표현하는 것이 어렵다 보니, 힘든 마음을 표현하기보다는 술 뒤로 숨어 현실을 회피하거나 도망치기 일쑤다. 술판에서 벗어나도록 하기 위해서는 자기감(sense of self)이란 마음의 회복이 선행되어야 한다. 공감할 수 있는 건강한 친구나 무엇보다도 몰두할 수 있고 경제적 보상 등의 기쁨을 느낄 수 있는 일이 그들에게는 필요하다. 그런데 기초생활수급자라는 구조적인 문제로 그들은 경제적 활동을 할 수가 없다. 수입이 있으면 수급자에서 탈락되기 때문이다. 일을 원하면서도 수급자 탈락이 더 무서워 그들은 일을 하지 않는다. 모든 수급자들의 공통된 고민이다. 수급자인 동시에 경제적 활동을 할 수 있는 발전된 복지서비스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

김현주 서울 강서구보건소 사회복지사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