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프라인 기반 업종 코로나19 피해 커… 최저임금 안정 필요”

입력 2022-05-29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경총, ‘2021년 개인 신용카드 데이터로 분석한 품목별 소비 현황과 시사점’ 발표

지난해 신용카드 사용액 전년 대비 10% 증가
개인 신용카드 사용 품목별 증간 격차 뚜렷
전자상거래 21.1%↑ㆍ숙박 및 음식 1.5%↓
2019년 대비 여행ㆍ숙박ㆍ음식점 회복 못 해

▲연도별 신용카드 사용액 및 전년 대비 증가율 (제공=한국경영자총협회)

지난해 개인 신용카드 사용액이 2020년보다 증가한 가운데 품목별 증감 격차는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및 방역 조치 등의 영향으로 타격을 크게 받은 업종에 대한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29일 발표한 ‘2021년 개인 신용카드 데이터로 분석한 품목별 소비 현황과 시사점’에 따르면 작년 개인카드 사용액은 전년보다 10% 증가한 605조2000억 원을 기록했다. 특히 전자상거래ㆍ통신판매 증가율은 21.1%로 가장 높았던 반면 숙박ㆍ음식은 전년 대비 1.5% 감소해 뚜렷한 격차가 나타났다.

경총은 “개인 신용카드 사용액은 매년 7~10%의 증가세를 보였으나 2020년에는 코로나19의 여파 등으로 기존 증가세에 현저히 미치지 못하다가 지난해에는 다시 10%의 증가세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경총은 “하지만 여행ㆍ숙박 같은 오프라인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종 등에서 피해가 컸던 만큼 정책적 지원이 시급하다”며 “이러한 업종일수록 인건비가 경영상황에 큰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고려해 최저임금 안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2019년(=100) 대비 품목별 신용카드 사용액 추이 (제공=한국경영자총협회)

경총에 따르면 △여행ㆍ교통 △숙박ㆍ음식 △의류ㆍ잡화 △교육 △오락ㆍ문화 등에서 지난해 신용카드 사용액은 2020년보다는 늘었지만 2019년 수준을 아직 회복하지 못한 것으로 집계됐다.

작년 카드 사용액이 2019년 수준보다 높은 품목은 전자상거래ㆍ통신판매(150.9%), 공과금ㆍ개인전문서비스(123.4%), 금융ㆍ보험(122.9%), 식료품(122.8%), 자동차(118.3%) 등 총 10개 품목이었다.

반면 지난해 신용카드 사용액이 2019년 수준보다 낮은 품목은 총 5개 품목으로 여행ㆍ교통(51.9%), 숙박ㆍ음식(84.1%), 의류ㆍ잡화(85.7%), 교육(93.8%), 오락ㆍ문화(96.4%) 등 총 5개 품목으로 분석됐다.

특히 사회적 거리두기 격상 시기에 음식점에서의 카드소비는 급감했다. 경총이 월별로 일평균 개인 신용카드 사용액 수준을 분석한 결과 코로나 팬데믹이 크게 유행해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격상된 시기(2020년 3월ㆍ8(9)월ㆍ12월, 2021년 7월ㆍ12월)에 음식점의 신용카드 사용액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대조적으로 전자상거래를 통한 개인 신용카드 사용액은 코로나 확산이나 방역 조치 강화에 크게 영향받지 않고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 것으로 분석됐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코로나 충격이 점차 완화되면서 소비가 일정 부분 개선된 부분은 다행이지만, 숙박ㆍ음식업같이 자영업자가 많이 분포한 대면서비스업종의 소비가 여전히 부진했던 점은 우려스러운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특히 여행ㆍ숙박같이 오프라인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종들은 온라인 매출로의 전환이 사실상 불가능해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타격이 더욱 컸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