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덕근 통상본부장 “통상 이슈 기민 대응 위해 ‘통상 원팀’ 협업 중요”

입력 2022-05-27 09:5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통추위에서 기재·외교·농림·해수부와 한미회담·IPEF향후 계획 논의

▲사진은 이달 20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넷플릭스 한국 투자신고식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는 모습. (뉴시스)

산업통상자원부는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27차 통상추진위원회를 개최하고 우리 정부가 창립 멤버로 참여한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관련 향후 계획 등을 논의했다.

안덕근 통상교섭본부장 주재로 이날 열린 회의엔 기획재정부·외교부·문화체육관광부·농림축산식품부·고용노동부·해양수산부 등 관계 부처 담당자가 참석해 한·미정상회담의 경제 분야 성과와 향후 계획, IPEF 추진 동향 및 향후 계획 등을 논의했다.

안 본부장은 모두발언을 통해 “공급망·기술, 보건, 환경, 노동 등 다양한 분야를 망라하는 통상 이슈에 기민하게 대응하기 위해 ‘통상 원팀’으로서 범정부적 협업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미 정상회담과 IPEF 출범에 따른 후속 조치에 차질이 없도록 관계 부처가 함께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산업부는 IPEF와 관련된 예상 의제, 통상협력체의 성격 등을 부처와 협의하고 세부 분야별로 그간의 논의 동향을 공유했다.

IPEF는 미국 주도로 이달 23일 출범한 세계 최대 규모의 신경제통상협력체로 한국과 미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인도 및 동남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회원국인 브루나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등 총 13개국이 창립 멤버로 참여했다.

이번 통상추진위원회에서는 다음 달 12~15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리는 세계무역기구(WTO) 제12차 각료회의 진행 현황과 대응 방향도 논의했다.

현재 WTO 회원국들이 관심 있는 의제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로 촉발된 식량안보 문제, 코로나19와 같은 보건 위기 발생에 대응할 백신 등 필수 의료품 공급 공조 방안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