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투데이 말투데이] 급선무(急先務)/키 테넌트 (5월27일)

입력 2022-05-27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조성권 국민대 객원교수

☆ 헨리 키신저 명언

“모든 성공은 더 어려운 문제로 가는 입장권을 사는 것일 뿐이다.”

나치의 유대인 박해를 피해 가족과 함께 이주한 독일 출신의 미국의 정치가이자 정치학자다. 하버드대학 교수를 지낸 그는 미국 대통령 안보보좌관 겸 국가안전보장회의 사무국장과 국무장관을 역임했다. 세계평화를 위해 노력한 공로로 노벨평화상을 수상한 그의 저서 ‘미국의 외교정책’은 유명하다. 그는 오늘 태어났다. 1923~

☆ 고사성어 / 급선무(急先務)

‘서둘러 먼저 힘써야 할 일’이란 말이다. 맹자가 한 말에서 유래했다. “지혜로운 사람은 알지 못하는 것이 없겠지만 그가 당면한 일에 대해서는 서둘러 먼저 알고자 해야 하며, 어진 사람은 사랑하지 않는 것이 없겠지만 현자(賢者)를 사랑함을 서둘러 먼저 힘써야 할 것이다. 요순 같은 지혜로운 사람도 무엇이나 다 알지 못한 것은, 먼저 알아야 할 일을 서둘러 알고자 했기 때문이다.[知者無不知也 當務之爲急. 仁者無不愛也 急親賢之爲務. 堯舜之知而不徧物 急先務也.]” 출전 맹자(孟子) 진심(盡心) 상편.

☆ 시사상식 / 키 테넌트(key tenant)

상가나 쇼핑몰에 고객을 끌어모으는 핵심 점포를 뜻하는 말. ‘앵커 테넌트(anchor tenant)’라고도 한다. 키 테넌트의 존재 여부는 상권의 유동인구를 좌우할 정도로 중요성이 커, 키 테넌트 상점을 쇼핑몰로 입점시키기 위한 경쟁도 치열하다. 보통은 대형 서점, 멀티플렉스 영화관, 대형 마트, 유명 체인 커피숍, 글로벌 SPA 의류 브랜드 매장 등이 키 테넌트 역할을 한다. 소비 트렌드의 변화에 따라 1990년대에는 영화관과 패밀리 레스토랑이, 2000년대 들어서는 글로벌 SPA 브랜드가, 2010년 이후에는 대형 서점과 유명 커피숍 등이 키 테넌트 역할을 하고 있다.

☆ 신조어 / 인구론

‘인문계 90%는 논다’고 비꼬는 말이다.

☆ 유머 / 손님 아빠

네 살 아들을 둔 아빠가 매일 밤늦게 퇴근하기 때문에 아들의 얼굴을 보기 어려웠다.

아빠가 출근하려는데 모처럼 일찍 일어난 아들이 눈을 비비면서 한마디 했다.

“근데 아빠…, 왜 요즘엔 우리 집에 자주 놀러 안 와요?”

채집/정리:조성권 국민대 경영대학원 객원교수, 멋있는 삶 연구소장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