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 상담소] 극단적 선택도 전염된다

입력 2022-05-18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김현주 서울 강서구보건소 사회복지사

일주일 전 14년을 함께 살아온 반려견이 무지개다리를 건넜다. 노화로 건강상태가 안 좋았지만 그렇게 갑자기 떠날 정도로 상태가 안 좋았던 것은 아니었는데, 예고 없이 벌어진 일이라 아직도 실감이 나지 않는다. 동고동락하던 반려견의 죽음도 이처럼 마음이 아픈데 하물며 가족이나 친구, 지인이 갑자기 세상을 떠나면 그 슬픔은 말로 다 형언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런데 그 죽음이 극단적 선택이라면 더더욱 충격적일 것이다.

미국 자살연구협회에 따르면 한 사람의 극단적 선택이 가족, 친지, 동료 등 가까운 사람들 6명에게 정신적으로 심각한 영향을 끼친다고 한다. 세계보건기구도 극단적 선택 사망자 1명이 발생할 경우 5~10의 유족과 지인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고 경고하고 있다.

2015년부터 3년간 한국에서 최초로 자살생존자 실태조사를 진행한 한 교수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스스로 목숨을 끊은 1명이 약 6명의 가족에게 영향을 미치고, 평균 20명 정도의 주위 사람들이 자살생존자로 영향을 받게 된다’고 한다. 자살생존자란 주변인의 극단적 선택 이후 남겨진 사람, 즉 주변의 중요한 사람이 극단적 선택으로 세상을 떠난 뒤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를 겪는 사람을 뜻한다. 우리나라처럼 인구밀도가 높고 관계지향적인 사회에서는 자살생존자의 범위가 더 넓다고 한다. 코로나바이러스만 전염되는 게 아니라 극단적 선택도 전염력이 매우 강하다는 뜻이다.

2020년 기준 극단적 선택을 한 사망자는 1만3195명. 그런데 극단적 선택 시도자 수는 실제 극단적 선택으로 인한 사망자 수의 20~40배로 추정되고 있다. 이를 기준으로 본다면 한 해 동안 극단적 선택을 결심하고 실행에 옮긴 사람은 26만 명에서 52만 명에 이른다는 계산이 나온다. 게다가 이들이 가족이나 친구 등 주변인들에게 미치는 영향까지 생각하면 극단적 선택의 영향권에 있는 위험자는 더욱 늘어난다. 극단적 선택의 위험성을 이렇게 확대해서 보는 이유는 실제로 가족 중에 극단적 선택을 한 사람이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극단적 선택을 할 확률이 4.2배 높았고, 최근 1년간 주변인, 건강, 포부 등 상실경험이 있는 경우는 9.8배가 높았으며, 친구나 동료를 잃었을 때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자살 생각 척도가 3.7배에 달했기 때문이다.

극단적 선택을 한 사람이 주변인에게 미치는 영향은 친밀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더 강하게, 더 오래 받는다고 한다. 처한 여건이 경제적 문제나 건강 악화, 실패 또는 상실, 지지체계 미흡 등 취약한 상황이라면 영향이 더 크다고 한다. 한 사람의 극단적 선택을 가볍게 볼 일이 아니라는 얘기다. 우리가 극단적 선택을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 문제로 인식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김현주 서울 강서구보건소 사회복지사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