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美 테라파워와 MOU…차세대 원전 SMR로 넷제로 본격화

입력 2022-05-17 14:1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17일 서울 서린사옥에서 장동현 SK 부회장(맨 왼쪽)과 김준 SK이노베이션 부회장이 크리스 르베크 미국 테라파워 CEO(가운데)와 포괄적 사업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사진제공=SK)

SKㆍSK이노베이션이 미국의 대표 소형모듈원자로(SMR) 기업과 협력하며 탄소 감축 목표 실행에 속도를 낸다.

17일 SK에 따르면 장동현 SK 부회장과 김준 SK이노베이션 부회장은 이날 서울 종로구 SK서린사옥에서 크리스 르베크 테라파워 최고경영자(CEO)와 포괄적 사업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테라파워는 2008년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인 빌 게이츠가 설립한 회사로, 차세대 원자로의 한 유형인 소듐냉각고속로(SFR) 설계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테라파워의 SFR 기술인 나트륨(Natrium)은 현재 가동 중인 3세대 원전보다 안전성과 경제성이 개선됐다. 또 미국 에너지부의 자금 지원으로 2028년 상용화를 목표로 실증 사업을 하고 있다.

이번 협약에 따라 SK는 테라파워의 SMR 기술과 방사성 동위원소 생산 역량을 자사의 사업 영역과 연계해 다양한 협력 기회를 한다는 계획이다. SK는 테라파워와의 공동 기술개발 협력이 국내 원전 관련 기업의 SMR 핵심 기술 확보 및 차세대 원전 운영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SK는 탄소 배출 없는 안전한 전력원인 SMR의 경쟁력에 주목해왔다. SMR이란 기존 대형원전보다 발전 용량과 크기를 줄인 500메가와트(㎿)급 이하의 원전이다.

특히 테라파워의 SFR은 핵폐기물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핵연료 기술을 활용하면서도 높은 안전성을 확보했다. 기존 대형원전은 물을 냉각재로 사용하지만, SFR기술은 끓는점이 높아 폭발 위험이 거의 없는 액체 나트륨을 냉각재로 사용한다.

또 설계와 건설 방식이 간소화돼 설치와 운영에 드는 비용도 줄일 수 있다. 이런 장점으로 인해 SMR은 장기적으로 탄소 중립을 해결할 유력한 대안으로 거론된다.

SK 관계자는 "탄소배출이 거의 없는 SMR의 가능성에 주목해 왔다"며 "테라파워의 SFR은 MMS(용융염 저장소) 기술을 활용한 에너지 저장 장치 기능을 통해 높은 가동률을 유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