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시험 줄이는 화학물질 유해성 평가, 연구사업 5년간 42억 원 투입

입력 2022-04-29 13:3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환경과학원, 항목별 대체자료 활용 안내서 발간

▲유전독성자료의 증거력 평가를 위한 점검표. (자료제공=국립환경과학원)

화학물질의 유해성을 평가하는 과정에서 동물시험을 줄이기 위한 연구사업이 확대된다.

국립환경과학원은 동물시험을 줄이고 화학물질 유해성을 평가하는 절차를 마련하기 위해 올해부터 5년간 총 42억 원을 투입한다고 28일 밝혔다.

환경과학원은 2020년부터 화학물질 유해성을 평가할 때 동물시험 자료가 필요한 항목 중에서 피부과민성을 대상으로 동물시험을 대체하는 시범사업을 추진했다. 또 지난해부터 5년간 유전독성을 필두로 '비시험 방법을 활용한 화학물질 유해성평가 연구'를 진행 중이다.

시험적 방법이란 화학물질을 평가하는 시점에 추가로 시험을 하지 않고도 확보할 수 있는 문헌자료와 예측결과 등 비시험자료를 활용한 독성평가 방법이다.

올해 화학물질 유해성을 평가할 때 실험쥐 등의 동물시험이 필요한 생식독성 항목을 시작으로 항목별 '유해성평가를 위한 대체자료 생산 및 검증(2022~2026년)' 사업도 추진한다.

생식독성 자료는 제조 또는 수입량이 연간 10톤 이상인 화학물질을 등록할 때 필요하다. 동물시험 없이 생식독성을 평가할 수 있는 절차가 마련된다면 한 번의 시험에 수십 마리의 동물이 희생되는 절차를 줄일 수 있다.

환경과학원은 비시험적 방법을 활용한 유해성평가 연구사업이 진행됨에 따라 독성자료의 증거력 평가를 위한 점검사항 안내서를 각 항목별로 분류해 올해부터 2027년까지 연속간행물로 안내서와 책자를 발간한다.

이날 발간하는 첫 안내서는 지난해 유전독성을 대상으로 추진했던 사업을 소개하고 등록대행업체, 화학물질 평가자 등이 유전독성자료의 증거력을 평가할 때 확인할 항목과 이에 대한 설명과 예시를 담았다. 아울러 유전독성 자료의 증거력 평가 항목의 누락 여부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점검표를 만들어 한 장의 책자 형태로 현장에 배포한다.

해당 안내서와 책자는 환경부 산업계도움센터와 환경과학원 화학물질정보시스템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정현미 환경과학원 환경건강연구부장은 "지속적으로 대체자료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사업을 추진하고 그 결과를 산업계 등에 제공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동물의 희생을 최소화하면서도 화학물질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