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한국 국가신용등급 'AA' 유지…올해 성장률 2.5% 전망

입력 2022-04-26 17:2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025년 1인당 GDP 4만 달러 달성 전망…일반정부 재정적자, 2024년 흑자 전환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4월 21일(현지시간) 국제신용평가사 S&P사와 면담에 앞서 로베르토 싸이폰-아레발로 국제신용등급 글로벌 총괄과 악수하며 인사를 나누고 있다. (사진제공=기획재정부)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26일 한국의 국가신용등급과 전망을 기존과 같은 'AA, 안정적'으로 각각 유지했다. 올해 경제 성장률은 기존과 같은 2.5%로 전망했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S&P가 우리나라 국가신용등급과 전망을 'AA, 안정적'으로 유지했다고 밝혔다.

S&P는 2016년 8월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A-'에서 'AA'로 한 단계 상향 조정한 이후 이를 유지해오고 있다. S&P는 보고서에서 "한국은 대부분의 고소득 국가들보다 강하고 빠른 성장이 예상되며, 1인당 GDP는 2025년 4만 달러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S&P는 올해 한국 경제가 2.5%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은 2.6%, 2024년은 2.5%, 2026년은 2.2%로 각각 성장률 전망치를 제시했다.

S&P는 우리나라의 경제에 대해 "견고한 제조업 수요가 수출·투자 성장을 뒷받침하고, 고용 개선세도 가계소득 및 내수소비 제고에 기여할 것"이라면서도 "향후 고령화에 대응한 생산성 제고가 경쟁력 유지의 관건이며, 높은 수준의 가계부채는 민간소비 제약 요인"이라고 전망했다.

제도와 관련해선 "민주적 정치제도를 통한 예측 가능한 정책과 선제적 대응이 강점이지만, 북한 관련 위험은 제약 요인"이라고 평가했다. S&P는 "최근 코로나 대응을 포함해 지속가능한 공공재정, 균형 잡힌 경제성장 등 그동안 우수한 제도·정책 성과를 보여왔다"면서도 "잠재적 안보위협은 여전히 신용등급 평가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재정건전성과 관련해선 2023년까지 일반정부 재정적자가 2023년까지 축소된 후 2024년에는 흑자로 전환할 것으로 전망했다. GDP 대비 재정수지는 2022년 -3.0%, 2023년 -1.2%, 2024년 1.0%, 2025년 1.0%로 각각 추정했다.

S&P는 한국 정부의 재정 상황이 여전히 강하고, 이는 국가신인도를 지지하는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은행 자산 규모 등을 고려하면 금융권 관련 우발채무 리스크도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통일 비용 등 북한 리스크와 공기업 채무는 재정 건전성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봤다.

대외적으로는 순(純) 대외채권, 외환시장의 깊이와 유연한 환율이 강한 대외 버퍼 역할을 하고 있고, 향후 경상흑자는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통화정책은 물가안정 목표제의 성공적 운영, 중앙은행 독립성 등을 기반으로 경제 안정과 신인도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높은 수준의 가계부채는 통화정책의 제약요인이지만,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고정금리-분할상환' 전환 노력으로 리스크를 완화했다고 덧붙였다.

기재부는 "한국 경제에 대한 평가가 작년보다 개선되는 등 우리 경제에 대한 대외신뢰가 재확인됐다"고 평가했다.

다만 "S&P는 작년에 이어 높은 수준의 가계부채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며, 금리 인상에 따른 부담 증가 등을 지적했다"며 "정부는 앞으로도 S&P 측과 우리 경제동향 및 정책 방향에 대한 소통 강화를 통해 대외신인도 제고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