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尹당선인, 취임 후에도 서초동 자택서 출근한다

입력 2022-04-20 15:19수정 2022-04-20 15:3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외교부 장관 공관 관저 유력…"취임 즉시 입주 불가능"
"취임식 당일도 외교부 장관이 사용할 듯"
애초 검토된 육참 공관엔 "경호·의전·비용 등 문제 있어"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최지현 수석 부대변인이 20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인수위 기자회견장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 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새 관저로 서울 용산구 한남동 외교부 장관 공관을 낙점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 외교부 장관이 사용하고 있어 취임 후에도 당분간 서초동 자택 출근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원일희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수석부대변인은 20일 오후 서울 종로구 통의동 인수위 사무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한남동 공관 입주가 최종 결정됐다는 전제로 5월10일 취임식에 맞춰 곧바로 입주는 어려울 것 같다"고 밝혔다.

이어 "취임식 당일에도 외교부 장관이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일정 기간은 현재와 마찬가지로 서초동 자택에서 출퇴근을 하지 않을까 싶다"며 "교통 편은 지금과 같은 동선으로 움직이며 교통 통제 최소화해 시민 불편도 최소화한다는 원칙을 유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공관 졸속 검토 논란에 대해선 "경호·의전 기능, 리모델링 기간, 예산 등을 모두 검토해본 결과, 육군참모총장 공간이 불합리한 점이 많아 대안을 찾은 것"이라며 "졸속이란 표현은 적절치 않다"고 선을 그었다.

인수위는 이날 오전 기자들과 만나 "외교부 장관 공관을 대통령 관저의 가장 합리적인 대안으로 보고 검토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애초 후보지로 검토됐던 육군참모총장 공관에 대해선 "1975년에 지어져 너무 노후화돼 종합적으로 많은 불합리한 점이 발견됐다"고 설명했다. 외교장관 공관의 연쇄 이동 등 후속 조치는 미정이다.

윤 당선인의 일부 공약 실천 방안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특히 '병사월급 200만원' 공약에 대해 최지현 인수위 수선부대변인은 "이는 주요 공약 중 하나로 실천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다"며 "구체적으로 어떤 형태로 할지, 예산은 어떻게 할지 등에 대해 외교안보분과, 기획조정분과가 함께 검토를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현재 확정된 것은 없다"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