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탄소가격제 등 기후변화 대응, 각국 산업구조 고려해야"

입력 2022-04-20 11:5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IMF 게오르기에바 총재 "한국, 재정 건전해 상대적으로 영향 적어"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4월 1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화상으로 열린 기후행동재무장관 연합회의에 참석해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기획재정부)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9일(현지시간)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정책들을 국제적으로 조율할 때는 각국의 상이한 산업 구조를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이날 워싱턴 D.C.에서 열린 기후행동 재무장관연합 장관회의에서 기후 대응 방향에 대해 "배출권 거래제 등 시장 메커니즘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되, 재정지원과 연구·개발(R&D) 등 비(非)가격 정책까지 고려한 정책 수단 조합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한국의 2030 국가 온실가스감축목표(NDC) 상향과 배출권거래시장의 성공적 안착 등을 소개하고, 현재 한국에서 진행 중인 개발도상국 역량 강화 지원 사업도 언급했다. 그러면서 향후 개도국의 녹색 전환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회의에는 미국·영국 등 15개 발언국을 포함한 71개 회원국과 세계은행(WB)·국제통화기금(IMF) 등 주요 국제기구가 참석해 최근 에너지 가격 상승에 따른 기후 변화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 참가국들은 배출권거래제와 탄소세 등 탄소가격제와 관련해 입장을 공유하고, 국가별 접근 방식의 차이를 공평하게 조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다음 기후행동 재무장관연합 장관회의는 오는 10월에 열릴 예정이다.

이날 홍 부총리는 워싱턴 D.C.에서 국제통화기금(IMF)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총재와 만나 우크라이나 전쟁과 코로나19 등 위기 대응 방안도 논의했다.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전쟁의 영향으로 세계 경제의 하방 리스크가 확대되고 있지만, 한국은 건전한 재정과 한국판 뉴딜을 비롯한 적극적 거시정책 등에 힘입어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다"고 분석했다.

우크라이나 전쟁 파급 효과와 관련해선 "불확실성이 높지만, 러시아 수입감소 및 소비심리 하락에 따른 경제악화가 러시아를 협상 테이블로 나오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홍 부총리는 "구조개혁 취약국 지원을 위해 신설된 회복·지속가능성기금(RST)이 전쟁으로 타격을 받은 국가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유용한 수단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지난 2월 G20 재무장관회의에서 밝힌 RST 9억 특별인출권(SDR) 참여를 재차 강조하면서, 원활한 RST 운영을 위한 신속한 자금확보를 주문했다.

홍 부총리는 내년 주요 20개국(G20) 의장국인 인도의 니르말라 시타라만 재무장관도 만나 내년 회의의 주요 의제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홍 부총리는 "양국 수교 60주년인 내년에 각각 ADB 연차총회 의장국(한국), G20 회의 의장국으로서 성공적인 회의 개최를 희망한다"며 "양국교역 및 ODA 등 호혜적 협력이 강화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에 시타라만 재무장관은 "무역분야 및 개발 협력에서 양국 간 건설적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협력을 지속해나가기를 희망한다"고 답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