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비 일부 합의에도 갈 길 먼 '용산 집무실'

입력 2022-04-03 14:2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인수위, 관계부처에 예비비 의견 전달
안보 공백 제외한 300억 원 부분 합의
尹 측 "실무자들이 더 잘 알아…협의 중"
靑도 尹도 최종 승인할지는 알 수 없어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집무실로 사용하겠다고 밝힌 용산 국방부청사 모습. (연합뉴스)

다음 달 10일 취임 후 용산 집무실로 출근하겠다던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바람이 실현되지 못할 가능성이 커졌다. 윤 당선인 측은 청와대 측과 예비비 집행에 일부 합의를 이뤘지만, 청와대의 최종 승인은 불투명한 상태다. 윤 당선인 측은 물밑협상을 계속해 나갈 방침이다.

3일 이투데이 취재를 종합하면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청와대 이전 태스크포스(TF) 측과 청와대 실무진은 용산 집무실 이전을 두고 일부 예비비 집행에 어느 정도 합의를 이룬 것으로 보인다. 전체 예비비는 아니지만, 일부만 먼저 집행하기로 한 것이다.

양측이 일부 예비비에만 협의를 이룬 이유는 청와대가 계속 강조했던 안보 공백과 무관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합동참모본부 이전 예산인 118억 원을 제외한 300억~400억 원 정도의 예비비만 1차로 승인한 것이다.

협상은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과 이철희 정무수석이 아닌 실무진이 참여한 것으로 보인다. 애초 두 사람이 만나 예비비 합의를 이룬 것으로 알려졌으나, 실무진 간 합의를 승인한 정도라고 한다.

인수위 측에선 TF 관계자, 청와대 측에선 행정안전부와 국방부, 대통령 경호처 등 3개 기관 관계자들이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윤 당선인 측 관계자는 전날 "시기와 액수 문제는 장 실장과 이 수석이 얘기할 문제가 아니다"라며 "실무자가 더 잘 안다"고 설명했다. 이어 "문재인 대통령과 윤 당선인이 큰 틀에서 면밀하게 검토해 협조하겠다고 했다"며 "장 실장이나 이 수석이 대단하게 협의할 내용이 없다"고 했다.

양측이 예비비 협상에 일부 동의하면서 용산 집무실 이전에 청신호가 켜졌지만, 실무진 합의에 대한 문 대통령의 승인이 남았다.

인수위 한 관계자는 "윤 당선인 측은 (예비비와 관련해) 합의한 적이 없다고 한다"며 "얘기를 들은 바가 없다고 했다"고 전했다. 실무선에서 합의는 이뤘지만, 윤 당선인이 보고받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청와대 역시 최종 승인을 하지 않았다.

이에 다음 달 10일 윤 당선인이 용산 집무실로 출근하는 것은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또 다른 인수위 관계자는 "청와대가 집무실 이전을 돕는다고는 했지만, 국무회의에서 빨리 통과가 안 되면 취임 후 바로 용산으로 출근하긴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윤 당선인 측은 협의를 통해 최대한 집무실 이전을 앞당기겠다는 계획이다. 다음 달 10일 바로 용산 집무실을 가지 못하더라도, 가능한 한 빨리 이전해 국민과 약속을 지키겠다는 것이다. 인수위는 안보 공백에 대한 청와대의 우려를 잠재우기 위해 설득작업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