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공직자 재산] 고위공직자 다주택자 14.5%…3채 이상 16명

입력 2022-03-31 00:3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816명 中 118명 다주택자
'7주택자'도…최종인 한밭대 산학협력부총장

▲63빌딩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 모습 고이란 기자 photoeran@ (이투데이DB)

청와대와 국무총리실을 비롯한 정부 부처 등에 재직 중인 재산공개 대상 고위공직자 중 14.5%가 집이 2채 이상인 다주택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가 31일 공개한 정기 재산변동 사항(2021년 12월 31일 기준)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을 제외하고 부처 고위공무원과 공직유관단체장 등 재산이 공개된 중앙부처 재직자 816명 중 118명이 다주택자로 집계됐다.

3채 이상을 소유한 다주택자는 16명으로 조사됐다. 상가 등을 제외하고 공직자 자신과 부인 명의로 된 아파트, 다세대주택, 연립주택 등을 집계한 결과다.

고위공직자 중 다주택자의 비중은 2년 전의 절반을 밑도는 수준으로 줄었다. 2020년 3월 정기 재산공개 당시에는 고위공직자 다주택자 비율이 33%(750명 중 248명)였다.

2019년 말부터 부동산 시장 안정화를 위해 청와대와 정부가 다주택 고위공직자들에게 주택 매도를 권고한 결과로 해석된다.

정부 부처 장관 중에는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이 유일한 다주택자다. 문 장관은 과거 재직했던 세계해사대가 소재한 스웨덴 말뫼와 부산 수영구에 각각 배우자와 공동으로 소유한 아파트를 신고했다.

이번 재산공개에서 가장 많은 주택을 신고한 중앙부처 고위공직자는 7주택자인 최종인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부총장이었다. 최 부총장이 건물로 신고한 재산의 가액은 총 13억4800만 원이다.

최 부총장은 대전에 1채, 천안에 3채의 아파트를 배우자와 공동으로 소유하고 있다. 여기에 자기 명의의 단독주택과 배우자 명의의 천안 아파트 2채도 더 보유하고 있다.

서울에만 3채의 아파트를 신고한 공직자도 있었다. 국민의힘 전신인 미래통합당 몫으로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에 임명된 김효재 상임위원이다.

그는 자신의 명의로 된 중구 신당동 아파트(7억7000만 원)와 강남구 청담동 아파트(13억2600만 원), 배우자 명의의 성북구 하월곡동 아파트(7억3800만 원)를 신고했다.

김기표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은 본인 명의의 송파구 신천동 아파트(14억2500만 원)와 강남구 개포동 아파트 분양권(9억5400만 원)을 신고해 소위 강남 3구에만 두 채를 갖고 있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