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당선인이 꼽은 文·尹 회동 현안은…'민생·안보'

입력 2022-03-28 10:31수정 2022-03-28 16:0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尹측 "의제는 없지만, 첫째도 민생, 둘째도 민생"
"회동 자리서 추경 편성 건의 예상"
"두 분 모두 안보 문제에 대해선 공감대 있을 것"
"총리 후보는 경제원팀, 드림팀 이끌 최적임자"
尹 "아무래도 민생, 안보에 대해 얘기하지 않을까"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4일 오전 서울 종로구 통의동 인수위 앞 천막 기자실을 방문해 질의응답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대선 19일만에 문재인 대통령과 회동하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28일 만찬 자리에서 무엇보다 민생을 강조하며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을 건의할 것으로 보인다. 윤 당선인 역시 이날 회동에서 나올 주제로 '민생', '안보'를 꼽았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이날 오전 서울시 종로구 통의동 인수위원회 사무실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정해진 의제가 없어 허심탄회하게 얘기하겠지만, 당선인은 첫째도 민생, 둘째도 민생을 염두에 두고 있다"며 "국민 걱정을 덜고 코로나19로 고통받는 국민께 힘이 되는 방안을 얘기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민생 얘기가) 나오지 않을까 싶다"고 밝혔다.

이어 "특히 윤 당선인은 민생에 대해 무한책임을 진다는 자세로 코로나19 손실 보상 문제가 가장 시급하게 다뤄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국민께 약속드린 이 문제에 대해 청와대에 적극적인 지원과 협조 요청하지 않을까 싶다"고 덧붙였다.

이를 위해 윤 당선인은 문재인 대통령과의 회동에서 추경 편성 문제도 언급할 가능성이 크다. 앞서 윤 당선인은 22일 50조 원 규모의 2차 추경 편성 방침을 공식화한 바 있다. 코로나19로 침체된 경제를 살리고 소상공인을 돕자는 취지다.

하지만 현 정부는 그동안 문재인 대통령 임기 내에는 2차 추경안을 국회에 제출하지 않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변인은 "추경 50조 원은 (윤 당선인이) 국민께 한 약속이다. 국민이 일어설 수 있도록 국민에게 손 건네는 당위성에 대해 현 정부도 공감할 것"이라고 했다.

이날 만찬 회동에서 한반도 안보 문제에 대한 논의도 이뤄질 수 있다. 김 대변인은 "두분께서 국민 안전을 지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도 언급할 것이라 본다. 당선인은 현재 북한의 미사일 공격으로부터 국민을 안전하게 지키는 방안과 관련해 전날 한미 정책협의단의 미국 파견을 결정했다"며 "한 치의 오차도 없는 안보 메시지에 대해선 두 분이 큰 이견이 없을 것이라 본다"고 강조했다.

윤 당선인 역시 이날 오전 통의동 기자회견장을 방문해 "의제는 특별히 없고 조율해야할 문제는 따로 얘기 할 것 같다"며 "아무래도 민생, 안보 현안 등에 대한 얘기는 나올 수 있을 것 같다"고 전망했다.

윤 당선인 측은 새 정부 국무총리 후보로 ‘경제통’ 출신을 선임할 가능성도 시사했다.

김 대변인은 "경제부총리, 금융위원장, 대통령실경제수석까지 경제 원팀이 드림팀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만들어 주실 최적임자로 총리 후보를 찾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정운영이 한 치의 빈틈도 없이, 차질 없이 이뤄질 수 있도록 우리의 원팀, 국민과의 원팀, 국민과의 드림팀이 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다만, 총리의 경우 경제 분야와 관계없이 국정 운영을 제대로 해나가실 분으로 최적임자를 찾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새 총리는 새 정부의 임기 시작과 함께 일할 수 있도록 목표로 두고 있다고 말한 적 있다”며 “인사청문요청안을 국회로 보낸 뒤 인사청문회, 본회의 표결 등까지 35일 안팎이 걸리는 점을 감안하면 4월 초에는 후보자에 대한 윤곽이 나와야 하지 않을까 싶다“고도 했다.

총리 하마평에 오른 후보군 중 경제 전문가로는 한덕수 전 총리가 유력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한 전 총리는 김대중·노무현·이명박 정부를 거치면서 두루 중용된 통상 전문가다. 노 정부에선 국무총리를 지냈고, 이 정부에서는 주미 대사로 활약했다. 다만 올해로 73세라는 점이 부담으로 지적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