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전망] 원ㆍ달러 환율, 6원 상승 출발 전망

입력 2022-03-28 08:0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28일 환율 전문가는 미 연방준비제도 인사들의 매파적인 기조 강화로 달러화의 하락을 제안했다며 이를 감안한 원ㆍ달러 환율의 상승 출발을 내다봤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 뉴욕 차액결제선물환(NDF) 원ㆍ달러 환율 1개월물은 1225.75원으로 6원 상승 출발할 것으로 예상한다.

달러화는 뉴욕증시가 혼조세를 보인 가운데 연준의 매파적 태도가 이어지면서 보합권에서 등락을 반복했다.

뉴욕증시는 S&P500과 다우는 상승한 반면 나스닥은 하락하며 투자심리가 뚜렷한 방향성을 보여주지 못했다.

달러 역시 보합권 내 등락을 이어간 가운데 연준위원들의 매파적인 발언은 국채 금리 상승과 함께 달러의 하락을 제한했다.

뉴욕 연은총재가 한 회의에서 50bp 금리 인상 가능성을 열어두며 매파적인 기조를 강화했다. 엔화는 최근 하락에 따른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달러 대비 소폭 강세를 나타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 고유가와 미 연준의 긴축 리스크가 미국 경기에 부담을 주기 시작했다.

가장 먼저 악영향이 가시화된 부문은 소비심리이다. 3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자수는 59.4(확정치)로 2월 62.8에 비해 큰 폭으로 하락하며 11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에 버금가는 수준이라는 점에서 미국 경기사이클에 일부 적신호가 켜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물론 관련 인사들이 빅스텝을 공공연하게 언급하며 베이비스텝(25bp) 인상이 아닌 빅스텝(50bp)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를 반영하듯 FED 선물은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50bp 금리인상 확률을 70.5%까지 반영 중이다.

미 연준이 5월 FOMC 회의에서 금리를 50bp 인상할지는 불투명하지만 인플레이션 기대감을 낮추기 위해서는 빅스텝으로 전환될 공산이 커지고 있음은 분명하다.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로 인한 고유가 현상이 지속되고 미 연준마저 공격적으로 금리인상에 나선다면 미국 경기의 성장 모멘텀이 것이고 약화할 수밖에 없다.

미국 애틀랜타 연준의 1분기 GDP 성장률 추정치를 보면 3월 24일 기준 전기비연율 0.9%로 이미 미국 성장률 흐름이 크게 둔화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