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자의 ‘팍스로비드’에 이어 국내에 두 번째 코로나19 먹는 치료제 ‘라게브리오(성분명 몰누피라비르)’가 풀린다. 해외에서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가 급확산하면서 공급이 달리는 만큼 아스트라제네카(AZ)의 항체 복합제 ‘이부실드’까지 들어오면 수급 불균형 해소는 물론 환자 유형에 따른 선택지도 생길 것으로 보인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22/03/600/20220325135111_1732298_1200_791.jpg)
김 총리는 또 “머크의 먹는 치료제(라게브리오)도 내일부터 투약이 이루어진다. 어제 2만 명 분이 도착했고, 이번 주말에 추가로 8만 명 분이 도입된다”며 “기존 치료제 투약이 어려운 환자분들께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방대본에 따르면 팍스로비드는 25일 도착한 추가 물량 4만4000명 분을 더해 총 20만7000명 분이 도입됐다. 전날까지 약 11만4000명에게 사용, 남은 물량은 약 9만3000명 분이다. 라게브리오는 이달 중 10만 명 분이 들어올 예정이며, 전날까지 2만 명 분이 도입됐다. 나머지 물량은 오는 27일 도착할 예정이다.
머크앤드컴퍼니의 라게브리오는 화이자의 팍스로비드와 동일한 처방 기관과 공급체계로 운영될 것으로 보인다. 전날 고재영 질병관리청 대변인이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혔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22/03/600/20220325135110_1732297_1200_1275.jpg)
투여 방법은 하루에 캡슐 4개를 12시간마다 2회, 총 5일간 식사와 무관하게 복용하면 된다. 코로나19 양성 진단을 받고 증상이 발현된 후 5일 이내에 가능한 한 빨리 투여하는 것이 좋다. 코로나19로 입원한 환자에게는 유익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화이자의 팍스로비드는 바이러스 복제에 필요한 단백질 생성을 맞아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하는 의약품으로, 기저질환 등으로 중증 진행 위험이 높은 경증 및 중등증의 성인과 소아에 대해서 사용 승인이 났다. 중증 간장애 및 신장애 환자에 대해서는 투여를 제한한다.
복용 방법은 한 번에 3알씩 12시간마다 2회, 총 5일간 복용하면 된다. 코로나19 양성 진단을 받고 증상이 발현된 후 5일 이내에 되도록 빨리 투여해야 한다. 부작용으로는 미각 이상이나 설사, 혈압상승 및 근육통 등 경미한 이상 반응이 있을 수 있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22/03/600/20220325135109_1732296_500_333.jpg)
이기일 중대본 제1통제관은 25일 브리핑에서 “백신 접종으로 면역을 형성하기 어려운 중증 면역저하자에 쓰이는 아스트라제네카사의 (항체)치료제 이부실드도 해외 (처방) 사례를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
이부실드는 코로나19 증상 발현 위험을 77% 줄이고, 1회 접종 후에 보호 효과가 최소 6개월 지속된다고 알려졌다. 다만,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됐거나 최근 코로나19 확진자와 접촉한 경우에는 접종해선 안 된다.
이부실드가 이식환자나 일부 암 환자, 류마티스 질환자 등 면역저하자에게 유용한 치료제이다 보니, 미국에서는 사재기도 심각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작 해당 치료제가 필요한 면역저하자는 손에 넣기도 어렵다고 CNN이 24일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