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케미칼 "2024년 리튬 자급률 102%…배터리 소재 경쟁력 확대"

입력 2022-03-25 10: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포스코그룹, 2024년까지 연 9.3만 톤 수산화리튬 생산 능력 확보

▲포스코케미칼 양극재 광양 공장 전경 (사진제공=포스코케미칼)

포스코케미칼이 포스코그룹의 리튬 투자를 바탕으로 배터리 소재 사업 경쟁력을 강화한다.

25일 포스코케미칼에 따르면 포스코그룹이 확보한 리튬을 공급받으면 2024년 기준 9만1000톤(t) 규모의 리튬을 모두 자체 조달할 수 있게 된다. 연 22만 5000톤의 양극재를 만들 수 있는 양이며 자급률은 102%에 이를 전망이다.

리튬은 양극재의 핵심 원료로 배터리에서 양•음극을 오가며 전기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포스코그룹은 2024년까지 연 9만3000톤의 수산화리튬 생산 능력을 확보했다. 23일 착공식을 열었던 연산 2만5000톤의 아르헨티나 염수리튬 공장은 추가 투자를 바탕으로 2024년까지 연 5만 톤의 생산능력을 확보한다. 광양의 포스코리튬솔루션 광석리튬 공장에서는 2023년부터 연 4만3000톤의 리튬을 생산할 예정이다.

포스코그룹은 앞으로도 포스코케미칼의 양극재 투자 계획과 연계해 아르헨티나 염호의 리튬 생산 규모를 연 10만 톤까지 늘리는 등 리튬 사업을 지속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민경준 포스코케미칼 사장은 “원료의 승자가 배터리소재 사업의 승자가 될 것”이라며 “그룹의 지원으로 확보한 원료 경쟁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배터리사를 대상으로 적극적인 마케팅을 전개해 시장 점유율을 높여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