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기후위기 대응 신재생에너지 대폭 확대

입력 2022-03-21 11:15수정 2022-03-21 15:2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태양광 지붕 파고라 (사진제공=서울시)

서울 에너지가 화석연료 중심에서 다양한 신재생 에너지로 전환된다.

21일 서울시는 2012년 기준 4.3% 수준에 머물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을 지열, 수열, 소수력, 연료전지, 태양광 등 다양한 에너지원으로 균형 있게 보급해 2030년 21%까지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온실가스 배출의 91%가 에너지 소비에서 발생하는데 석유·가스 등 화석연료 의존율이 67%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화석연료를 대체해 건물 냉·난방에너지를 줄일 수 있는 지열은 재정투자, 민간융자지원, 신축의무화를 통해 600MW를 설치한다. 수열은 대규모 도시개발사업 등 신축건물을 중심으로 305MW를 공급한다.

한강 잠실수중보(잠실대교 북측)와 정수시설 배관망 낙차를 활용해 연료비 없이 24시간 상시 가동할 수 있는 소수력 발전에도 나선다. 2030년까지 총 5MW 규모의 발전시설을 구축할 예정이다.

시는 올해 물재생센터 등 공공시설에 53MW 규모의 연료전지 보급을 추진하고, 2030년까지 공공 유휴부지 발굴과 민자 투입으로 600MW까지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또 주유소에 연료전지, 태양광을 설치해 직접 전기를 생산하고 전기차 충전시설까지 갖춘 ‘종합에너지스테이션’을 2030년까지 서울시 전체로 확대한다.

양적 확대에 치중했던 태양광은 보급정책에서 벗어나 건물일체형태양광(BIPV) 등 신기술, 고효율 중심으로 전환한다. 올해는 공공청사, 태양광 신기술 시범사업 선정지, 철도부지 등에 40MW를 보급하고, 2030년까지 총 800MW를 설치할 계획이다.

유연식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서는 먼저 온실가스 주범인 화석연료를 줄여야 한다”며 “서울 에너지 소비의 67%를 차지하는 화석연료를 다양한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도록 정책역량을 집중하여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을 지속적으로 끌어올리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