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소득자 상위 1% 4명 중 3명, 수도권 직장 다녀…"지역 불균형 심각"

입력 2022-03-21 09:43수정 2022-03-21 18:4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김회재 의원 국세청 자료 분석…인구 10만 명당 숫자도 서울이 1위

▲더불어민주당 김회재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 받은 ‘광역자치단체별 상위 1% 근로소득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귀속 근로소득 연말정산 결과 상위 1% 근로소득자는 19만4953명으로 집계됐다. (자료제공=김회재 의원실)

상위 1% 근로소득자 4명 중 3명이 수도권 직장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양질의 일자리가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는 의미로, 지역·수도권 간 불균형이 심화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더불어민주당 김회재 의원이 21일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광역자치단체별 상위 1% 근로소득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귀속 근로소득 연말정산 결과 상위 1% 근로소득자는 19만4953명으로 집계됐다.

이중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직장 생활을 하는 상위 1% 근로소득자는 14만5322명으로, 전체 근로소득자의 74.5%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17개 광역자치단체별 상위 1% 근로소득자 수는 서울이 8만6716명(44.5%)으로 가장 많았고, 경기(5만2651명·27.0%), 부산(8447명·4.3%), 경남(6340명·3.3%) 등이 뒤를 이었다.

지역적 특수성을 가진 세종(516명)을 제외하면 상위 1% 근로소득자가 가장 적은 곳은 제주(1163명)였다. 강원(1912명), 전북(2333명)도 다른 지역에 비해 상위 1% 근로소득자가 적었다.

인구 수를 고려한 인구 10만 명당 상위 1% 근로소득자 수도 수도권이 높게 나타났다. 인구 10만 명당 상위 1% 근로소득자 수는 서울이 897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후 경기 392명, 울산 287명, 부산 249명, 대전 223명 등의 순이었다. 반면, 인구 10만 명당 상위 1% 근로소득자 수가 적은 곳은 강원(124명), 전북(129명), 세종(145명), 전남(151명), 제주(172명) 순이었다.

김 의원은 "지역은 이미 소멸의 위기를 맞고 있다"며 "지역 본사제 추진 등 균형발전을 위한 대대적인 정책적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