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코로나發 물가상승, 저소득층이 고소득층보다 크게 체감”

입력 2022-03-21 0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경연, 체감물가 변화 소득분위별 분석

(출처=한경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저소득층의 체감 물가상승률이 고소득층보다 더 크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2018~2019년 대비 2020~2021년의 체감물가 변화를 소득분위별로 분석한 결과 저소득층일수록 물가 상승을 더 크게 체감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21일 밝혔다.

소득분위별 체감물가상승률은 1분위가 2.7%로 가장 높았다. 그 뒤로 △2분위 2.4% △3분위 2.2% △4분위 2.1% △5분위 1.9% 순이다.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체감물가상승률이 낮은 것이다. 소득 하위 20%인 1분위의 체감물가상승률은 상위 20%인 5분위 체감물가상승률의 1.4배에 달한다.

이에 대해 한경연은 고소득층보다 저소득층의 지출 비중이 높은 품목의 물가가 상대적으로 크게 올랐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코로나19 발발 이후(2020년~2021년) 소득 1분위는 주로 △식료품ㆍ비주류음료(지출비중 22.4%), △주거ㆍ수도ㆍ광열(19.6%) △보건(13.3%) 등 생필품과 건강 관련 지출 비중이 높았다. 이에 비해 5분위의 지출 순위는 △교통(지출비중 14.3%) △음식ㆍ숙박(13.3%) △식료품ㆍ비주류음료(13.3%) 등으로 집계됐다.

1분위의 지출 비중이 5분위보다 더 높은 상위 3개 품목(주거ㆍ수도ㆍ광열, 식료품, 보건)의 물가는 평균 3.7% 상승한 데 비해 5분위의 지출 비중이 높은 상위 3개 품목(교육, 교통, 음식ㆍ숙박)의 물가는 평균 0.7% 올랐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코로나19발(發) 물가 상승 충격이 저소득층에 상대적으로 집중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저소득층에 대한 일자리 기회 제공을 확대해 소득을 늘리는 한편, 농산물 수급 안정과 식료품 유통구조 효율화를 통해 가격 상승 폭을 최소화해 저소득층 물가부담을 낮춰야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