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산업 생태계 조성 위해 백신 기술·제품 표준화, 시험·인증 지원 강화

입력 2022-03-16 14:3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삼바·중진공·코트라 등 MOU 체결

(사진제공=SK바이오사이언스)

백신 산업 생태계 조성 등을 위해 국내 백신산업 기술·제품을 표준화하고 시험·인증 지원도 강화한다.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은 16일 경남 진주시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에서 제2차 10대 유관 기관장 협의체 협력회의를 열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SK바이오사이언스, 셀트리온등 백신 기업들과 한국표준협회,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코트라(KOTRA),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등 12개 기관은 이날 백신 산업 관련 기술·제품을 표준화하고 시험·인증 지원을 강화하는 내용의 협약(MOU)을 맺었다.

정부는 올해 상반기에 백신산업 분류 코드 국가표준(KS) 제정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국가표준을 통해 백신 산업 기술의 세부 분류 체계를 정립해 지원대상을 명확히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산업부와 복지부는 KS 제정안에 근거해 오는 8월 말까지 백신 산업 실태조사를 벌인다. 백신 원료 및 원부자재, 완제품, 관련 장비들 포함하는 HS 코드 10단위 무역체계도 올해 8월 말까지 검토할 방침이다.

아울러 백신 소부장(소재·부품·장비) 대·중소기업의 상생협력 강화 방안과 백신·치료제 위탁생산 현황, 향후 계획도 논의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SK바이오사이언스, 셀트리온 등 백신·치료제 위탁생산 기업들과 간담회도 진행됐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기업은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관련 대조약 확보, 국가 동물시험기관 설립·지원, 수출 및 금융 지원 확대 등을 정부에 건의했다.

이에 정부는 유엔이 지원하는 의료단체인 ‘국제 의약 특허풀’(MPP)과 글로벌 제약기업과의 협의를 통해 대조약 확보 및 소부장 기업 육성, 수출 금융 확대 등의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문 장관은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우리 백신기업들이 국제 경쟁력을 증명해 보였다”며 “백신 산업이 바이오헬스 분야 성장을 견인하고 새로운 수출 동력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권 장관은 “정부가 보건의료 차원의 코로나19 방역 관리에 많은 역량을 집중하였다면 이제부터는 백신·치료제 산업 지원과 육성에도 더 많은 관심을 두려고 한다”며 “이제는 우리가 하나씩 이루어낸 백신산업의 성과를 바이오헬스산업 전반으로 확산해 나갈 시점”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