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올해 노후건물 15만호 '저탄소 건물'로 바꾼다

입력 2022-03-10 11:15수정 2022-03-10 15:3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이미지투데이)

올해 서울 내 건물 15만호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저탄소 건물로 새단장한다.

서울시는 1월 발표한 기후변화대응계획의 핵심대책 중 하나인 '저탄소 건물 100만호 확산'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고 10일 밝혔다.

이 사업은 서울시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69%를 차지하는 건물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감축하기 위해 2026년까지 친환경 보일러, 단열창호 교체, 단열보강 등으로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다.

올해는 사업대상 확대, 지원센터 설치, 유관기관·기업 등과 협업체계를 구축하는 등 대규모 투자로 공공 및 민간건물 총 약 15만 곳의 에너지 효율화를 진행한다.

먼저 서울주택도시공사(SH)의 ‘에너지성능 개선사업’을 통해 올해 공공주택 2만호의 노후보일러와 형광등을 에너지 효율이 높은 친환경 보일러와 발광다이오드(LED) 조명으로 교체한다. 기후위기에 취약한 어르신과 어린이가 이용하는 경로당, 어린이집 등 98곳에 단열설비 향상, 고효율 냉난방기 교체 등으로 에너지 성능을 30% 이상 높인다. 남산창작센터, 중부‧북부기술교육원, 탄천물재생센터 등 24곳을 제로에너지건물(ZEB) 수준으로 전환하거나 에너지효율 30% 이상으로 개선한다.

노후 주택 및 건물의 에너지효율 개선을 위해 지난해부터 시행 중인 무이자 융자를 올해도 추진한다. 지원한도는 주택은 최대 6000만 원까지, 비주거용 건물은 최대 20억 원까지다. 서울시는 "단열창호, 단열재 교체 등을 통해 열손실을 방지하고 에너지사용량을 줄이면 전기료, 도시가스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저소득층 주거시설은 단열과 기밀성능이 취약한 노후주택으로 일반주택에 비해 냉․난방비 지출 수준이 높다. 이에 시는 LED 조명 보급, 간편시공 에너지효율개선 모델 시범사업 등 진행한다.

시는 건물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다양한 정보제공과 컨설팅을 위해 서울시청 서소문청사 1동 기후에너지정보센터에 ‘(가칭)건물에너지플러스지원센터’를 설치해 29일부터 운영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