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투데이 말투데이] 염일방일(拈一放一)/웹 3.0 (3월10일)

입력 2022-03-10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조성권 국민대 객원교수

☆ 맥스웰 몰츠 명언

“성공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차이는 능력이나 어떤 발상의 차이가 아니라 위험을 감수하고 그 발상을 실천에 옮기는 용기의 차이이다.”

미국의 성형외과 의사. 베스트 셀러 ‘사이코-사이버네틱스’의 저자. 그는 책을 통해 사람들이 목표를 설정하기 전에 자신에 대한 정확하고 긍정적인 견해를 가져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그들은 믿음을 제한하는 지속적인 패턴에 갇히게 된다고 역설했다. 1899~1975.

☆ 고사성어 / 염일방일(拈一放一)

‘하나를 집기 위해서는 다른 하나를 놓아야만 한다’는 말이다. 하나를 쥐고 있는 상태에서 또 하나를 쥐려고 하면 이미 손에 쥐고 있는 것까지 모두 잃게 된다는 뜻이다. 북송(北宋)시대 사마광(司馬光)이 지은 ‘자치통감(資治通鑑)’에 나온다. 그가 어린 시절 큰 물독에 빠진 어린아이를 구출하기 위해서 주변의 어른들은 허둥대며 갑론을박하고 있을 때 그는 돌멩이로 장독을 깨트려 아이를 구했다. 그는 고귀한 생명을 구하기 위해서는 장독쯤은 깨트려 버려도 되는 작은 것에 불과하다고 생각했다.

☆ 시사상식 / 웹 3.0

탈중앙화, 현실과 가상의 결합 등을 특징으로 하며 분산 원장 기술을 통한 인터넷 콘텐츠의 개인 소유 등이 가능해지는 다음 세대의 가상공간을 말한다. 웹 1.0 시대는 정보를 읽을 수만 있었고, 웹 2.0의 시대는 정보를 읽고 쓸 수 있다. 페이스북과 유튜브, 구글 등이 웹 2.0의 대표적인 성공 모델이다. 아직 본격적으로 오지 않은 웹 3.0의 시대에는 읽기와 쓰기에 더해 콘텐츠의 소유가 가능하다. 블록체인 기술과 대체불가 토큰(NFT) 등 새로운 기술이 기존에 불가능했던 개념의 실현을 가능하게 해줬기 때문이다.

☆ 한자가 변한 순우리말 / 말

몽골어 ‘모린’ 혹은 ‘모리’를 중국에서 표기한 한자어 마(馬)가 이렇게 변했다.

☆ 유머 / 원전

국어시험에 나온 주관식 문제는 이순신의 ‘난중일기’ 본문 일부를 주고 ‘위 글의 출전은 어디인가?’라는 문제였다.

한 학생은 망설임 없이 답을 썼다.

그가 쓴 답.

‘책’

채집/정리: 조성권 국민대 경영대학원 객원교수, 멋있는 삶 연구소장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