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9일, 확진자도 투표함 직접투표…오후 6시 이후 '동선 분리'

입력 2022-03-07 14: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선관위, 긴급 위원회의…확진·격리자도 일반기표소 이용
투표용지도 유권자와 동일한 투표함에 직접 투입
일반 유권자 마감 이후인 오후 6시~7시30분

▲노정희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이 7일 오전 경기도 과천시 중앙선관위에서 열린 제20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부실 관리 논란과 관련한 긴급위원회 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공동취재단)

코로나19 확진자·격리자도 20대 대선 본투표에서 일반 유권자와 동일하게 자신의 투표지를 직접 투표함에 넣는 방식으로 선거에 참여할 수 있게 됐다. 다만, 오후 6시 이후 일반 유권자가 모두 투표장에서 퇴장한 뒤에 투표를 할 수 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7일 경기 과천시 정부종합청사에서 긴급 전체 위원회의를 열고 이와 같은 '선거일 코로나19 확진자 및 격리자의 선거권 보장을 위한 투표관리 대책'을 결정했다.

이에 따라 확진·격리자는 5일 사전투표 때처럼 별도로 마련된 임시기표소가 아닌, 일반 유권자들이 이용하는 기표소를 이용하게 된다. 투표용지 역시 임시기표소에서 투표사무원에게 전달하는 것이 아닌 일반 유권자가 이용한 투표함에 직접 투입하게 된다.

확진·격리자의 본투표 시간은 일반 유권자들의 투표 마감 이후인 오후 6시부터 7시 30분까지이며 사전에 방역당국으로부터 일시 외출 허가를 받아야 한다.

선관위는 "오후 6시까지 일반 유권자들의 투표가 끝나지 않을 경우일반 유권자들과 동선이 분리된 투표소 밖 별도 장소에서 대기하다가 일반 유권자들이 모두 퇴장한 후 투표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노정희 중앙선관위원장을 비롯한 중앙선관위원들은 이날 회의에서 "확진자 등 선거인의 사전투표 관리와 관련해 사전투표 규모를 예측하고 대비하지 못했으며 임시기표소 투표에 대한 정보제공 등도 미흡했음을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이어 "혼란을 초래하고 국민들께 불편을 끼쳐 송구하다"며 "위원장 및 위원 모두는 이에 대한 책임을 통감하며, 원인을 파악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철저히 강구하겠다"고 덧붙였다.

선관위의 이번 결정은 사전투표 당시 '전달 투표'로 논란이 된 점을 감안해 '용지 직접 투입'을 보장하는 동시에 확진·격리자와 일반 유권자의 동선은 분리하겠다는 취지다.

앞서 4~5일 진행된 사전투표 과정에서 확진자 및 격리자에 대한 투표관리가 주먹구구식으로 이뤄졌다는 지적이 나왔다. 유권자들이 자신의 표를 직접 투표함에 넣지 못했다는 등의 불만이 SNS를 중심으로 퍼지며 논란이 확산했다.

특히 확진자를 위한 투표함이 제대로 마련돼지 않았다는 지적이 많았다. 확진자가 기표한 용지를 직접 투표함에 넣는 게 아니라 참관인 등 투표소 관계자들이 용지를 한데 모은 다음 투표함에 넣는 ‘임시 기표소’ 방식이 화근이 된 것이다. 또 사전에 특정 후보가 기표된 불량 투표용지가 배포되는 사례도 있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