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침공] 국제사회 제재에 러시아 은행 뱅크런...즈베르방크유럽 파산 위기

입력 2022-02-28 14:5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우크라이나 수도 키예프에서 24일(현지시간) 도시를 빠져나가는 차량들이 도로에 줄지어 서 있다. 키예프/AP연합뉴스

유럽중앙은행(ECB)은 28일(현지시간) 즈베르뱅크러시아의 완전 자회사인 ‘즈베르방크유럽’ 및 이 회사의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 부문이 파산하고 있거나 파산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즈베르방크유럽의 지난해 말 기준 총자산은 136억4000만 유로(약 153억 달러)였다. 즈베르방크유럽과 이 은행의 크로아티아 및 슬로베니아 부문은 최근 며칠 동안 예금이 급속도로 유출, 채무불이행(디폴트)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

유럽의 단일파산처리위원회는 이들 3개 은행에 대해 지급유예 기간을 도입하고, 이들 은행을 구제하는 것이 공익이 될지 여부를 판단한다는 방침이다.

ECB는 “지정학적 긴장으로 인한 풍문 피해의 결과, 거액의 예금 유출이 발생해 유동성 포지션 악화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또 “그룹 차원에서 이 포지션을 회복시킬 현실적인 가능성을 가진 이용 가능한 조치는 없다”고 지적했다.

즈베르방크 러시아는 러시아 연방이 지분의 절반을 보유하고 있다.

앞서 미국과 유럽 등 서방국들은 우크라이나 침공을 단행한 러시아에 대해 금융 제재를 대폭 강화하고, 러시아 일부 은행을 국제결제망인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에서 배제키로 했다. 또 러시아 중앙은행과의 거래 금지에 합의했다.

삼성증권의 유승민 글로벌투자전략팀장 겸 지정학분석팀장은 연합뉴스에 "역사상 주요 20개국(G20) 국가 중앙은행이 SWIFT 제재를 당한 적은 없다"며 "달러 등 주요 통화에 대한 루블의 교환 기능이 제약받아 러시아 통화가치가 급락하고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압력이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