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ESG, ‘모래성’ 아닌 ‘공든 탑’ 되려면

입력 2022-02-25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산업부 이다솜 기자

ESG(환경·사회·지배구조)의 시대가 닥쳤다. 글로벌 기관투자자 등 ESG 경영에 대한 압박이 거세지고 있는 탓이다. 지속 가능한 사회를 고려하지 않으면 지속 가능한 이윤도 없어질 전망이다. 기업들은 앞다퉈 ESG를 하겠다고 나섰다. ESG 위원회와 같은 전담 조직을 신설하고, ESG 채권을 발행하는 등 관련 경영 기반 마련에 열중이다. 규모도 커진다. 전경련에 따르면 매출액 상위 3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 86개 중 81%는 올해 ESG 사업을 더 키운다고 응답했다.

부담은 자연스럽게 따라왔다. ESG 경영을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많은 돈이 필요하다. 1년 동안 기업 한 곳의 ESG를 컨설팅하는 데에만 억 단위의 비용이 소요된다. 전담 조직 구성을 위한 ESG 전문인력 확보도 쉽지 않다. 상장사협회 설문조사 결과 상장사 797곳 중 88.6%가 ESG 규제에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 특히 5000억 미만의 상장사 10곳 중 8곳은 ESG 관련 부서도 없는 상황이다.

부담은 늘어가지만, 역량은 지지부진이다. 기업지배구조원이 공표한 2021년 ESG 평가등급에서 기업 절반 이상은 ‘B등급’ 이하를 부여받으며 낙제했다. 그나마 시행 중인 ESG마저 ‘E(환경)’에 치중됐다. 기업 대부분이 탄소배출량 감축, 신재생에너지 활용 등 환경에 힘을 쏟는다. 상대적으로 S(사회), G(지배구조)는 덜 중요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부담은 덜고 역량은 키울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 애로점 해결을 위해 경제적 지원부터 필요하다. ESG 협력 시 감세·공제 혜택을 주는 세제 지원이나 자금 조달 등 금융지원 확대가 방법이다. 예산이나 여력이 부족한 중소·중견기업에는 진단과 더불어 교육·컨설팅도 차근차근 이뤄져야 한다.

지난해 12월 ‘K-ESG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면서 첫발은 시작됐다. 국내외 600여 개에 달하는 ESG 지표에 대한 혼란을 줄이기 위해서다. 첫술에 배부를 순 없다. 다각적인 대안으로 다음 걸음을 내디딜 차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