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어 통역에 소홀한 선관위 비판 ‘봇물’…부랴부랴 지원 나서

입력 2022-02-21 19:2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청각장애인도 유권자" 선관위 비판 나와
"다자 후보토론, 통역사 1명만으로 전달 어려워"
"2차부터 후보별 지원" 대응에 사비 턴 정치권
"유료 케이블 아닌 지상파 방송으로 확대해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정의당 심상정, 국민의당 안철수,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후보(왼쪽부터)가 11일 오후 서울 중구 매경미디어센터에서 열린 한국기자협회 주최 방송 6개사 공동 주관 2022 대선후보 초청 토론회 시작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청각장애인 유권자 권리 보장에 소홀했다는 비판을 받자 부랴부랴 대책 마련에 나섰다. 2차 TV토론부터 후보별 수어 통역을 지원한다지만 이마저도 유료 케이블 채널을 통해서만 시청할 수 있다. 누구나 동등하게 TV 토론을 시청하고 후보별 정책을 검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비판이 잇따른다.

21일 이투데이 취재를 종합하면, 이날 열리는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0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 TV토론회에는 한 명의 수어통역사만 지원된다. 대신 선관위는 2차부터 케이블 채널 복지TV를 통해 후보별로 수어통역사를 배치한다는 방침이다.

그간 정치권에선 후보별 통역사를 지원해야 한다는 요구가 꾸준히 제기됐다. 통역사 한 명으로는 다자토론 내용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다는 문제의식에서다. 이에 민주당 청년선대위는 지난 10일 발화자별 수어통역사 배치 추진 간담회를 열고 지원 확대를 촉구했지만, 선관위는 "1차는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해서 어렵다"며 2차부터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소극적인 선관위 대응에 사비를 털어 통역을 지원하는 경우도 생겼다. 김광진 전 청와대 정무비서관은 이날 자신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후보별 수어통역을 지원하는 중계를 기획했다. 수어통역사 배치부터 영상 제작 비용 전반을 김 전 의원이 부담하기로 했다.

지상파를 포함한 채널에 수어통역사를 전면 배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선관위가 통역 지원한다는 '복지TV' 채널은 케이블 채널로, 유료 가입자가 아닌 경우 시청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날 오승재 정의당 대변인은 서면브리핑을 통해 "TV 토론을 생중계하는 방송3사에 후보별 수어통역사 배치가 이뤄지지 않은 점 역시 명확한 한계"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유권자의 알 권리를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할 책임이 있는 만큼, 후보별 수어통역사 배치가 모든 채널로 조속히 확대될 수 있도록 앞장서주기를 바란다"며 지원 확대를 촉구했다.

관련 법안 개정 움직임도 일고 있다. 홍서윤 더불어민주당 청년대변인은 이투데이와 통화에서 "선관위는 전체 공중파 송출을 하기에 협의 사항이 많아 어렵다는 입장"이라며 "민주당 청년 선대위는 수어 통역 지원을 위한 법안 개정안도 함께 준비하고 있다. 선거가 끝나더라도 계속 추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