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투데이 말투데이] 일장일이(一張一弛)/가안비 (2월15일)

입력 2022-02-15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조성권 국민대 객원교수

☆ 알프레드 화이트헤드 명언

“보통 교사는 지껄인다. 좋은 교사는 잘 가르친다. 훌륭한 교사는 스스로 해 보인다. 위대한 교사는 가슴에 불을 지른다.”

영국의 철학자. 수학자였던 그는 철학으로 전향, 물리학의 철학적 기초를 고찰해 자연과학의 사실 이론을 포괄할 수 있는 대규모적이면서 정밀한 형이상학적 우주론 체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그는 “‘이성’을 자연주의적으로 새롭게 규정함으로써, 이성을 ‘인간의 기능’이라는 제 자리로 돌려놓았다”라는 평을 듣는다. 오늘은 그의 생일. 1861~1947.

☆ 고사성어 / 일장일이(一張一弛)

활시위를 죄었다 늦췄다 한다는 말. 나라를 다스리는 데도 백성을 적당히 쉬게 하며 혹은 엄하게 하고 혹은 너그럽게 해야 한다는 뜻이다. 공자(孔子)가 자공(子貢)에게 깨우쳐 준 활시위 방법에서 나왔다. “활시위를 팽팽하게 당기기만 하고 느슨하게 풀어주지 않는 방법이나, 반대로 활시위를 느슨하게 풀어주기만 하고 팽팽하게 당기지 않는 방법은 문왕과 무왕도 할 수 없다. 한 번 팽팽하게 당겼으면 한 번 느슨하게 풀어주는 방법이 바로 위대한 문왕과 무왕의 길이다[一張一弛 文武之道也].” 출전 예기(禮記) 잡기(雜記).

☆ 시사상식 / 가안비(價安比)

코로나19 상황에서 퍼진 이 말은 비용을 더 내더라도 건강과 안전을 더 고려하는 소비를 이른다. 이런 흐름은 살균 램프, 초음파 세척기, 세정제, 미끄럼 방지 매트 등 안전 관련 제품의 판매 급증으로 이어지고 있다. 기존의 주요 소비 트렌드였던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을 중시하는 소비)와 가심비(가성비를 넘어 심리적인 만족감까지 중시하는 소비)에 이어 등장한 개념이다.

☆ 속담 / 자식을 보기엔 아비만 한 눈이 없고 제자를 보기엔 스승만 한 눈이 없다.

자식에 대해서는 부모가 가장 잘 알고 제자에 대해서는 스승이 가장 잘 알고 있다는 말이다.

☆ 유머 / 위대한 교사

학년말 성적표를 받아 온 아들이 밝은 얼굴로 “엄마! 우리 반에서 내가 인가가 젤루 좋은가 봐”라고 했다.

엄마가 “왜?”라고 묻자 아이의 대답.

“선생님이 저보고 진급하지 말고 1년을 더 있어 달라고 부탁했거든요.”

채집/정리: 조성권 국민대 경영대학원 객원교수, 멋있는 삶 연구소장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