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중국도 종전선언 지지...북한 모라토리엄 파기하면 전쟁 위기"

입력 2022-02-10 11:1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7대 통신사 합동 서면 인터뷰..."임기 내 종전선언은 지나친 욕심일 수도"

▲<YONHAP PHOTO-1987> 발언하는 문재인 대통령 (서울=연합뉴스) 안정원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8일 오전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영상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 2022.2.8 jeong@yna.co.kr/2022-02-08 10:21:54/<저작권자 ⓒ 1980-2022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문재인 대통령은 10일 종전선언 구상에 대해 "중국도 종전선언을 지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세계 7대 통신사와의 합동 서면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힌 뒤 "한미 간에 북한에 제시할 종전선언 문안까지 의견 일치를 이뤘다"고 설명했다

다만 문 대통령은 "우리 정부 임기 내에 종전선언을 이루겠다는 것은 지나친 욕심일 수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대신 "적어도 종전선언을 할 수 있는 여건을 더욱 성숙시켜 다음 정부에 넘겨주고 싶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종전선언은 적대관계의 종식과 함께 상호 신뢰를 증진하고 비핵화와 평화의 제도화로 나가기 위한 과정으로 유용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사실 '종전'은 남북 간에 여러 차례 합의했었다"며 "북미 간에도 싱가포르 공동선언에서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에 합의한 바 있다"면서 남북미 사이의 합의가 어렵지만은 않다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나와 김 위원장은 여러 차례 만나 장시간 대화했고 깊이 소통하며 신뢰관계를 쌓았다"며 남북 간 소통도 충분히 이뤄졌음을 부각했다.

문 대통령은 '남북 정상의 핫라인이 가동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직접적인 답변은 하지 않았다.

대신 "(남북 정상은) 만나지 못하는 동안에도 필요한 소통을 해왔다"며 친서 등을 활용한 소통이 이뤄졌음을 내비쳤다.

문 대통령은 그러면서 "나와 김 위원장이 함께 했던 많은 노력이 유종의 미를 거두길 희망한다"며 "그동안 노력했던 것을 최대한 성과로 만들고 대화의 노력이 다음 정부에서 지속되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북한의 무력도발이 이어지는 것에 대해서는 "만약 북한의 연이은 미사일 발사가 (핵실험·대륙간탄도미사일 재개) 모라토리엄 선언을 파기하는 데까지 나아간다면 한반도는 순식간에 5년 전의 전쟁 위기 상황으로 돌아갈 수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최근 북한의 군사적 행동에 대한 국민과 국제사회의 우려가 많다. 나 역시 현재 한반도에 조성되고 있는 상황을 엄중하게 바라보고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끈질긴 대화와 외교를 통해 그 같은 위기를 막는 것이야말로 관련국들의 정치 지도자들이 반드시 함께 해야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북한의 인권 문제에 초점을 맞추지 않으려고 한 것 아니냐'는 물음에는 "우리 정부는 인류 보편의 가치인 인권을 중시하며 국제사회 및 민간과 협력해 북한 주민의 실질적 인권 증진과 인도적 상황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답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남북관계와 북미관계 개선,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노력은 궁극적으로 북한의 인권 개선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며 "북한이 국제사회와 활발히 교류하며 보다 투명하고 개방된 사회로 나아가도록 이끄는 게 북한 인권의 실질적 증진으로 이어지는 지름길"이라고 언급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