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인데…임금 10% 올려라는 삼성 노조 첫 파업 '비상'

입력 2022-02-08 18:0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삼성노조연대 공동교섭 요구안 발표

"세전이익 20% 성과급 달라"
삼성전자 노조 중노위 조정신청
코로나 위기 속 무리한 요구 지적

▲한국노총 금속노련 삼성그룹노동조합연대 오상훈 의장이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노동조합총연맹에서 2022년 임금인상 및 제도개선 6대 공동요구안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성전자 노조연대)

삼성그룹노동조합연대(삼성노조연대)가 사 측에 올해 임금을 10% 인상해 달라는 내용의 공동교섭안을 발표했다. 전국삼성전자노조가 노동쟁의 조정신청을 접수하며 창사 이래 첫 파업 가능성이 제기된 상황에서 그룹 차원의 공동 교섭을 요구하고 나선 것이다.

2020년 5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무노조 경영 폐기를 선언한 이후 여러 계열사 노조에서 쟁의행위가 잇따라 불거지면서 노조 리스크도 하루가 다르게 커지는 양상이다. 업계에선 경영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노조가 무리한 요구를 이어간다는 비판이 나온다.

전국금속노동조합연맹(금속노련) 산하의 삼성노조연대는 8일 오전 ‘삼성연대 2022년 임금인상 및 제도개선 공동요구안 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삼성이 노사 평화와 상생을 원한다면 공동요구안 협상을 위한 공동교섭장에 나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삼성노조연대엔 전국삼성전자노조, 삼성생명직원노조, 삼성화재노조, 삼성화재애니카손사노조, 삼성생명금융서비스노조, 삼성카드고객서비스노조, 삼성디스플레이노조, 삼성웰스토리노조, 삼성SDI울산노조, 삼성에스원참여노조, 스테코노조, 삼성엔지니어링노조 등 총 12개 계열사 노조가 참여하고 있다.

공동요구안에는 △2022년도 임금 10% 인상 △포괄임금제 폐지 △세전이익 20% 초과이익성과급(OPI) 지급 △목표인센티브(TAI)와 OPI 평균임금 산입 △임금피크제 폐지 △기타 복지제도 개선 등 6가지 항목이 담겼다.

앞서 삼성노조연대는 1년 전인 지난해 2월에도 TAI와 OPI 제도 개선을 중심으로 한 요구안을 만들어 공동교섭을 요구했다. 그러나 이렇다 할 진전이 이뤄지진 못했다. 노조 측은 “지난 1년간 노사 상생을 위한 진심 어린 설득도, 의미 있는 투쟁도 해봤지만, ‘삼성은 아직 변하지 않았다’는 결론이 나왔다”고 밝혔다.

또 이들은 삼성이 공식적인 임금 협상을 노사협의회와 진행하고 있다는 점도 비판했다. 노조 연대는 “노사협의회와 노동조합은 목적, 지위, 역할이 다르다”며 “무노조 경영 포기의 시금석은 노사협의회와 아닌 노동조합과 교섭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노조가 이 같은 행동에 나선 건 개별 계열사 노조가 임금 협상 과정에서 사 측과 거리를 좁히지 못하면서 교착 상태에 놓였기 때문이다. 삼성디스플레이 노조는 지난해 6월 파업에 나섰고, 삼성화재애니카손해사정 노조도 지난해 10월 집단휴가에 나서는 등 수 번의 쟁의행위가 이어졌다.

최근엔 삼성전자의 지난해 임금 교섭이 최종 결렬되며 노사 갈등 리스크는 극에 달했다. 4일엔 삼성전자 노조 공동교섭단이 중앙노동위원회에 쟁의 조정신청을 접수하며 파업에 한발 더 다가섰다. 파업이 실제로 시행된다면 1969년 창사 이래 첫 파업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