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일화 선긋는 안철수ㆍ2030 여심 굳히는 심상정

입력 2022-02-06 17:14수정 2022-02-06 17:2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안철수 "코로나19 특별회계 신설해야"
심상정 "육아휴직, 최소 1년(부모 합산 2년) 보장"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와 심상정 정의당 대선후보는 6일 각각 코로나피해자영업총연대와 청년 여성 IT업계 개발자·디자이너와의 간담회를 가졌다. (국회사진기자단)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와 심상정 정의당 대선후보는 민생 행보로 차별화를 시도했다. 안 후보는 단일화 압박에도 완주 의지를 다졌으며 심 후보는 2030 직장인 여성 공약으로 표심을 다졌다.

안 후보는 서울 중구 한국외식업중앙회에서 코로나피해자영업총연대와 간담회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계속되는 땜질식 추경 방식은 이제 바꿔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코로나가) 확산되면 추경하는 방식이 아닌 코로나19 특별회계를 제대로 신설해 재원을 확실하게 확보하고, 연 30억 원 정도는 손실을 더 심각하게 입은 업종에 집중 지원하는 특별회계가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후보 단일화는 없다는 기존 입장도 재확인했다. 그는 원희룡 국민의힘 선대위 정책본부장이 언급한 단일화 필요성에 대한 입장을 묻는 말에 “국민의힘 내에서도 서로 의견이 달라서 서로 싸우고 있는데, 제가 거기에 무슨 말을 하겠나”고 반문했다.

또 MBN ‘정운갑의 집중분석’에 출연해 대선 레이스 완주 여부에 대해 “완주가 목표가 아니라 당선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일각에서 거론하는 ‘공동정부’ 제안에 대해서는 “현재로선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심상정 후보는 청년 여성 IT업계 개발자·디자이너와의 간담회에서 “심상정 정부는 성별임금격차해소법을 제정해서 성평등임금공시와 후속 조치에서의 정부 책임을 강화하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2030 직장인 여성공약을 통해 ‘생애주기 노동시간 선택권’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일종의 노동시간 단축 청구권 개념으로 출산이나 육아 등 생애주기 욕구로 인해 여성 인력이 노동시장을 이탈하지 않도록 하겠다는 취지다.

심 후보는 "육아 돌봄에서 성평등 선진국을 만들겠다"며 "초기 3개월(부부 합산 6개월)에만 집중된 육아휴직을 최소 1년(부모 합산 2년)은 제대로 쓸 수 있도록 하겠다. 육아휴직급여 소득대체율을 통상급여의 80%로 인상하고 1년간 지급하는 것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그는 2030 여성후원회 발족식에도 참석해 “이번 대선은 여성과 약자들에 대한 차별과 혐오를 자신의 정치적 동력으로 삼는 섬뜩한 선동정치가 등장을 하고 있다”며 “말로는 여성을 위한다고 하면서 요리조리 가는 곳마다 말을 바꾸는 이런 기회주의 양다리정치에 맞서야 할 대선”이라고 후보들을 싸잡아 겨냥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