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OㆍSTO 허용 의지 피력 "외국 코인 거래는 국부 유출…입법 없이도 가능"
부동산 개발 기반 가상자산 통한 전 국민 이익공유 제시…1000조 코인 시동
빗썸 대표 "부동산 잘게 쪼개 전국민 투자 기회…부 배분 도움" 호평
![](https://img.etoday.co.kr/pto_db/2022/01/600/20220119151246_1710035_1000_545.jpg)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는 19일 가상자산 활성화를 위한 공약 제시와 함께 검토 중인 가상자산 모델까지 제안하고 나섰다.
이 후보는 이날 서울 강남구에서 가진 가상자산거래소 현장 간담회에서 국내 ICO(가상자산 공개) 허용을 비롯한 활성화 공약들을 제시하고 거래소 대표 및 석학들과 의견을 나눴다.
이 후보는 가상자산 시장 투명화 및 불공정거래 감시를 업권법 제정 등 디지털자산 생태계 구축 지원 의사를 밝히면서 ICO와 STO(증권형 가상자산 공개) 허용을 제안했다.
그는 “투자자를 보호하고 시장 교란을 방지하기 위한 충분한 안전장치를 마련한 뒤 ICO 허용을 검토하겠다”며 “혁신적인 가상자산 발행과 투자자 보호, 중소벤처기업의 새로운 투자 유치 방식으로 STO 허용을 검토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후보는 가상자산 거래소 대표들과의 대화에서도 “국내 ICO가 법적 근거도 없이 (법무부 판단으로) 금지돼 있어 외국에서 상장된 코인을 거래하니 일종의 국부 유출”이라며 “자유롭게 ICO를 해 투자 기회와 자산을 늘리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동석한 허백영 빗썸코리아 대표는 “국내 ICO를 못하게 하는 건 대한민국 사람들이 외국 청년에 투자하게 하는 것”이라며 “국민들에 가상자산 투자 기회는 주고 창업 기회는 뺏는 것이라 말씀드리려 했는데 이 후보가 잘 지적해 감명 받았다”고 화답했다.
이 후보는 기자들과 만나서도 “법률로 정하지 않은 걸 금지해놓은 것을 할 수 있다고 해석하면 된다”며 “법무부의 일방적 조치였던 만큼, 안정성 담보하는 제도만 갖추면 ICO 법률을 만들기 전에도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22/01/600/20220119151319_1710036_1000_621.jpg)
이 후보는 현안을 넘어 독자적인 가상자산 모델을 제시하며 의견을 구했다.
그는 “부동산 투기가 국가적 문제다. 수익률이 높으니 부정부패가 너무 많이 개입된다”면서 “불로소득을 환수해 전 국민에 공유하기 위해 대규모 개발 참여 기회를 전 국민에 줘서 이걸 가상자산화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국민주 개념으로 이전에 상장했다가 이익을 배분하는 기회를 준 적이 있다. 한전(한국전력공사)이 그랬다”며 “이와 마찬가지로 부동산 대규모 개발에 대한 이익을 나누는 참여 권리를 주고 그 방식으로 자금을 조달하게 하면, 참여 기회 자체를 팔 수 있게 가상자산과 결합하면 안정성이 높아지고 시장이 커지면서 이익이 더 생길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예를 들어 어느 지역에 50조 원이 드는 개발을 한다면 전 국민에게 100만 원씩 투자 기회를 주는 것”이라며 “최종적으로는 아무도 손해는 보지 않을 거고, 제가 보기엔 가치는 많이 상승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이 후보 선대위가 검토 중인 1000조 원 규모 부동산 개발이익 기반 가상자산 발급 구상(이투데이 단독 보도)과 맥을 같이 한다.
가상자산 전문가그룹이 제출한 이 구상은 김포공항 이전을 전제로 개발이익 1000조 원이 예상되는 대규모 개발을 추진하고 자금 조달은 가상자산을 발급해 전 국민에 투자 기회를 부여하는 것이다. 해당 가상자산을 거래할 거래소를 갖추면 1000조 원 규모의 독자 가상자산이 마련되고, 이를 내세워 디지털기축통화 경쟁에 뛰어든다는 목표다.
해당 구상에 대해 허 대표는 “핵심을 짚은 이야기다. 부동산의 가장 큰 문제는 모두가 투자에 참여하기 어려워 아주 비싼 부동산은 ‘그들만의 리그’라는 점”이라며 “블록체인으로 부동산을 잘게 쪼개 거래하면 모든 국민이 양질의 자산에 투자할 기회를 얻을 수 있다. 대규모 개발과의 시너지가 어마어마할 것이라 새로운 투자시장이 열리고 사회적 부 배분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호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