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공원 부지 300만㎡로 확대…완공 시기 ‘연기’

입력 2021-12-27 11:1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반환 후 7년으로 연기

▲용산공원 기본구상도 (자료제공=국토교통부)
서울 용산 미군기지 이전 후 조성되는 용산공원 규모가 당초 계획보다 57만㎡ 늘어난 300만㎡로 확정됐다.

27일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용산공원 정비구역 종합기본계획 변경계획안’을 용산공원조성추진위원회 심의를 거쳐 28일 확정·고시한다고 밝혔다.

변경된 계획안을 보면 용산공원 부지 규모는 기존 243만㎡에서 300만㎡로 23.5%(57만㎡) 확장된다. 용산공원 북단의 옛 방위사업청 부지(9만5000㎡)와 군인아파트 부지(4만5000㎡)가 용산공원 경계 내로 편입됐다. 또 용산기지 인근 국립중앙박물관 및 용산가족공원(33만5000㎡), 전쟁기념관(12만㎡)이 공원 구역으로 들어오면서 전체 면적이 확대됐다.

애초 용산공원 북측에 들어설 예정이던 주한 미국대사관 직원 숙소도 공원 밖으로 이전될 예정이어서 앞으로 용산공원은 303만㎡ 규모로 더 확장될 전망이다. 다만 용산공원 부지 한복판에 있는 미군의 드래곤힐호텔(8만4000㎡)과 헬기장(5만7000㎡) 등은 공원 구역에 포함되지 못했다.

개원 일정도 수정됐다. 용산공원은 미군이 2016년 전체 기지 반환을 완료하면 2027년까지 공원 조성을 마치고 개원하는 일정이었다. 기지 반환 일정이 미뤄지는 점 등을 고려해 반환 시점을 ‘N년’으로 설정하고 ‘N+7년’ 개원을 목표로 계획을 수정했다.

미군이 부지를 반환한 이후에는 오염 정화가 필요한 부지에 대한 정화공사를 진행하면서 기존 계획과 설계를 보완하고, 공원 조성이 가능한 부지에 대해서는 착공에 나서기로 했다.

김복환 국토부 용산공원조성추진기획단장은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용산공원을 자연과 문화, 역사와 미래가 어우러진 국민의 여가 휴식공간으로 조성하도록 공원 조성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