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S]에스티팜, 코로나19 mRNA "식약처 1상 IND 제출"

입력 2021-12-24 14:4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에스티팜, 2022년 1분기부터 다국가 1상 시작…모더나‧화이자와 동일한 LNP 기술 적용

에스티팜(ST Pharm)이 식품의약품안전처(MFDS)에 mRNA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STP2104'의 임상1상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제출했다고 24일 공시했다. 이는 국산 mRNA 백신 개발을 위해 지난 6월 발족한 K-mRNA 컨소시엄의 코로나19 백신이 임상 절차에 들어갔다는 의미도 있다.

STP2104는 변형된 뉴클레오시드를 기반으로 디자인된 mRNA로, 에스티팜이 자체 개발한 5'-Capping reagent(파이브프라임 캡핑 유사체)인 SMARTCAP®을 사용, 캡핑효과와 전사효과를 향상시켰다고 설명했다. 또한 글로벌 임상을 통해 이미 안전성이 검증된 지질나노입자(Lipid nanoparticle, LNP)를 mRNA 전달체로 사용하고 있다.

에스티팜은 식약처 승인에 따라 내년 1분기부터 만 19~55세의 건강한 성인 최소 30명를 대상으로 한국을 비롯한 다국가 임상1상을 시작할 계획이다. 임상에 참여한 피험자는 25㎍, 50 ㎍의 2개 용량군으로 나누어 STP2104를 총 2회 단계적으로 투여 받은 후 안전성, 면역원성을 확인하게 된다.

에스티팜에 따르면 STP2104의 전임상 결과에서 항원 특이적 결합항체 역가와 2차 접종 후 중화항체 역가가 모두 기존의 mRNA 백신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T세포 면역반응도 높게 유도된 것을 확인했다. 전임상 데이터는 동료학자들의 검토 확인(Peer review)을 받는 국제 SCI급 저널에 논문으로 제출, 2022년 상반기 중에 게재할 예정이다.

에스티팜은 현재 코로나 델타변이를 타겟으로 하는 후보물질 STP2130의 전임상도 진행하고 있다. 오미크론을 비롯한 새로운 코로나 변이에도 신속하게 대응이 가능해 향후 K-mRNA 컨소시엄을 통해 국내외에서 임상과 상용화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컨소시엄은 미국, 독일 등 선진국 일부 기업만이 독점하고 있는 mRNA백신의 핵심 플랫폼 기술인 캡핑과 LNP기술을 자체 확보해 국산화함으로써 백신 자주권 확보에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