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공급하는 사전청약 아파트 분양가에 거품이 끼어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LH 사전청약 분양가 분석 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사전청약 1만8602가구의 분양가, 지구별 조성원가 등을 분석한 결과를 1일 발표했다.
경실련은 올해 사전청약을 진행한 3기 신도시 분양원가를 3.3㎡당 1115만 원, 전용 84㎡형 기준 2억8000만 원으로 추정했다.
이는 LH가 발표한 분양가와 비교해 3.3㎡당 554만 원, 1가구당 약 1억4000만 원의 차액이 발생한 것이다. 1만8602가구 전체로 따졌을 경우 차액은 2조6930억 원에 달한다.
3기 신도시 지구별로 택지조성원가의 편차도 심한 편이다. 3.3㎡당 가장 낮은 가격으로 조사된 부천원종지구의 택지조성원가는 466만 원인 반면, 성남 낙생지구는 3배 수치인 1619만 원으로 나타났다. 성남 신촌지구 또한 3.3㎡당 1613만 원으로 낙생지구에 맞먹는 수치를 보였다.
김성달 경실련 부동산건설개혁본부 국장은 “조성원가의 가장 큰 비중인 토지보상비가 대부분 평당 100만~300만 원 정도에 불과함에도 조성원가의 차이가 큰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며 “본청약 시 지금보다 30% 낮은 가격으로 아파트를 공급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