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S, ‘테크토닉 2021’ 열고 “개발자 생태계 기여” 알렸다

입력 2021-11-23 15:0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황성우 삼성SDS 대표이사가 23일 열린 ‘테크토닉(Techtonic) 2021’ 행사에서 인사말을 전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성SDS)

삼성SDS가 정보기술(IT) 개발 관련 노하우를 공유하고 그간의 성과를 알리는 자리를 마련했다. 특히 개발자 커뮤니티에 기여하겠다는 뜻을 밝힌 삼성SDS는 메타버스 공간을 통해 소통의 자리를 만들어내기도 했다.

삼성SDS는 ‘테크토닉(Techtonic) 2021’ 행사를 온라인을 통해 개최한다고 23일 밝혔다. 기간은 이날부터 이틀간이다.

테크토닉은 개발자 생태계 확장을 위해 최신 IT 기술과 개발 노하우, 인사이트를 공유하는 행사다. 올해 네 번째를 맞은 테크토닉 2021은 ‘최적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실현을 위한 혁신기술’을 주제로 열린다. 삼성SDS는 △클라우드 △보안 △인공지능 △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CX 등 총 21개 세션에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날 황성우 삼성SDS 대표이사는 “최근 가속한 클라우드 전환에 가장 적합하고 안전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뒷받침할 여러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며 “연구 개발 과정에서 느낀 어려움과 이를 해결한 다양한 사례를 이틀간 행사를 통해 공유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황 대표는 “개발자 커뮤니티와 기술 발전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하겠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기조연설자로는 그렉 모리셋 코넬 테크대학 부총장이 나섰다. 모리셋 부총장은 소프트웨어 보안 분야 글로벌 석학으로, 이날 ‘보안의 미래’를 주제로 강연했다.

이어진 세션에서는 삼성SDS 전문가가 다양한 주제를 소개했다. 인공지능 분야에서 권위 높은 신경정보처리시스템학회 ‘뉴립스(NeurIPS)’에서 채택한 AI 기반 조합최적화 기술이나 코딩을 거의 하지 않고도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로우 코드 디벨롭먼트 플랫폼(Low Code Development Platform)’이 대표적이다.

또한 △클라우드 환경에서 최적의 자원 분배를 위한 GPU 스케줄링 방법 △텍스트 분석 기술을 이용한 고객의 VoC 처리 지능화 적용사례 등도 이튿날 세션에서 소개한다.

외부 연사도 강연한다. 파트너사인 엔비디아(NVIDIA)의 정소영 상무는 ‘초거대 AI 연구를 위한 기반 기술’을 소개한다. 또한 삼성SDS와 사이버보안 분야에서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이상근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교수가 ‘그래프 뉴럴 네트워크(GNN)을 이용한 악성코드 탐지’ 연구성과도 공유한다. GNN은 기계 학습의 그래프 구조에서 사용하는 인공 신경망을 말한다.

▲이상욱 삼성SDS연구소장이 23일 메타버스 플랫폼 '로블록스'에 구축된 '테크토닉 파크'에 3D 아바타로 등장했다. (사진제공=삼성SDS)

한편 삼성SDS는 메타버스 플랫폼인 ‘로블록스’에 개발자 소통 공간도 마련했다. 이상욱 삼성SDS연구소장이 아바타로 먼저 등장했다 화상으로 전환하는 상황이 연출되기도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