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석유·가스 자주개발률 5.72% 달성

입력 2009-02-09 13:2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유전개발투자액 40억2천만 달러…사상 최대

지난해 정부와 기업이 해외유전개발에 사상 최대규모인 40억2000만 달러를 투자했으며 이를 통해 석유·가스 자주개발률이 5.7%로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식경제부는 9일 '2008년 해외 유전개발 사업실적' 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지난해 정부와 기업들의 해외 유전개발 투자액은 전년보다 57.6% 늘어났다. 이는 지난해 하반기에 불어닥친 금융한파 및 유가급락에도 불구하고 에너지 확보에 대한 관심 제고와 함께 고유가에 따른 매입비용 증가 등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

단계별로는 탐사사업에 10억8300만 달러, 개발사업에 2억4800만 달러가 각각 투자됐고 생산자산 인수에는 26억8700만 달러가 투입됐다.

지경부 관계자는 "정부의 전방위 에너지·자원 협력 외교 및 기업들의 적극적인 투자에 힘입어 세계 경제위기에도 불구하고 크게 활성화된 한해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아울러 미국 테일러 광구 등 생산광구 매입과 페루, 브라질 등 일부 광구의 생산 시작 및 생산량 증대로 하루 생산량은 17만2200 배럴로 전년(12만5000 배럴)보다 37.8% 늘어났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하루 석유·가스 도입량(301만3000 배럴)을 감안하면 자체 생산물량이 차지하는 비중, 즉 자주개발률도 5.72%로 전년(4.2%)에 비해 1.72%p 상승했다.

지경부 관계자는 "자원민족주의 대두로 리비아에 확보했던 엘리펀트 생산광구의 지분생산량이 하루 1만6000 배럴에서 5000 배럴로 급감했으나 생산유전 매입과 기존 광구 증산 등으로 자주개발률은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지난해 신규 자원협력을 통해 35개의 신규 원유·가스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해 총 36개국, 155개 사업으로 확대됐다. 특히 단순 지분 참여에서 벗어나 기술·경험을 보유할 수 있는 운영권을 확보한 사업도 전년보다 15개 증가한 67개로 늘어났다.

지경부 관계자는 "올해를 유망 프로젝트 확보의 좋은 기회로 인식해 적극적인 투자에 나설 계획"이라며 "정부와 민간이 모두 52억 달러를 투자해 하루 5만3000 배럴 이상의 자주개발 물량을 확보함으로써 자주개발률을 7.4% 이상 달성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