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증시 리포트]금융ㆍ유통주 강세로 상승..다우 106P↑

입력 2009-02-06 07:34수정 2009-02-06 08:2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미국 증시의 주요 지수가 5일(현지시간) 고용시장 불안정을 재차 확인한 경제지표가 발표됐음에도 불구하고 금융주와 소매유통주들이 강세를 보인 데 힘입어 반등에 성공했다.

다우존스 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대비 106.41포인트(1.34%) 상승한 8063.07에 장을 마감했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3.62포인트(1.64%) 오른 845.85에 거래를 마쳤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 역시 전장대비 31.19포인트(2.06%) 올라선 1546.24에장을 끝마쳤다.

미 증시는 이날 주간 실업보험 청구자수가 고용시장 불안을 재차 확인시켜줬다는 인식으로 하락 출발했다. 개장전 발표된 고용지표가 최악인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31일로 끝난 주간 실업보험 청구건수는 3만5000명 급증한 62만6000명을 보여 지난 1982년 10월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일주일 이상 실업보험 혜택을 받은 실업자수는 479만명을 나타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전날 민간부문 고용이 52만2000명 감소한 데 이어 부진한 주간 고용지표가 발표되면서 익일 발표될 1월 비농업부문 고용지표에 대한 우려가 높아졌다.

월가는 1월 비농업부문 고용이 52만5000명 감소하고 실업률은 7.5%를 기록할 것으로 각각 전망했다.

장초반 하락세를 면치 못했던 증시는 중반 이후 상승 탄력을 회복했다. 비유동자산에 대한 시가평가 회계기준이 일시적으로 중단될 수 있다는 소문이 돌면서 금융주를 중심으로 강세를 보이며 증시는 상승세로 돌아섰다.

주요 외신들은 시가평가제 유보를 포함한 금융구제법안이 9일 발표될 것이라는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며 재무부가 내주 금융구제안을 발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기자회견을 통해 구제방안에 대한 지지를 요청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아울러 월마트를 비롯한 소매업체들의 1월 매출이 예상보다 양호했다는 안도감이 유통주를 지지한 것으로 확인됐고, 전날 실적을 발표한 시스코를 중심으로 기술 관련주들도 강세를 보였다.

미 정부의 경기부양책이 이르면 이날 오후 상원을 통과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 또한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는 평가다.

종목별로는 씨티그룹과 JP모간체이스가 이날 1.2%, 2.1%씩 각각 상승 마감했고 부실자산으로 고전하고 있는 비자, 마스타카드가 각각 9.4%, 14%씩 급등햇다.

마스터카드의 작년 4분기 주당 순익은 1.87달러를 기록, 시장의 예측치인 1.62달러를 웃돈 것으로 집계됐다.

정부의 연봉 상한 규제를 피하기 위해 100억달러 공적자금을 조기 상환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진 골드만삭스 역시 5% 이상 오름세를 보였다.

국유화가 불가피하다는 인식으로 한때 16% 이상 추가 급락하며 지난 20년래 최저수준으로 추락했던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3% 상승세를 보였다.

월마트와 타깃이 예상을 웃도는 매출을 기록함에 따라 소비관련 종목들이 강세를 보인 점 또한 증시 반등에 도움이 된 것으로 풀이됐다.

이날 톰슨 로이터 집계에 따르면 미국내 35개 대형 소매 체인점들의 지난달 동일점포(1년 이상 영업중인 점포)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평균 1.8% 감소, 4개월 연속 내리막을 걸었다. 그러나 일부 개별 업체들의 실적은 애널리스트들의 전망치를 웃돈 것으로 집계됐다.

월마트의 지난 1월 동일점포 매출은 2.1% 증가한 것으로 알려져 전문가들의 예측치를 상회했고 주가는 4.6% 상승했다. 타깃 역시 1월 매출은 3.3% 감소했으나 시장의 예상치를 웃돌아 긍정적으로 해석됐다.

미 최대 백화점 체인 메이시는 동일점포 매출 감소폭이 예상보다 적은 4.5%를 기록했다고 발표했지만 역시 시장컨센서스보다 나쁘지 않다는 평가로 5.2% 상승했다.

애버크롬비 앤드 피치는 지난달 매출이 20%나 급감했음에도 같은 이유로 10% 급등했고 갭 역시 6% 올랐다.

한편, 국제유가는 미 증시 반등에 따라 경기회복 기대감을 반영하며 소폭 오름세를 보였다. 뉴욕 상업거래소(NYMEX)에서 3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는 전날에 비해 배럴당 85센트 오른 41.17달러로 거래를 마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