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가계대출 3.4兆 늘어…신용대출 감소하며 증가폭 둔화

입력 2021-11-01 17:0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주담대ㆍ전세대출 늘어나며 가계대출 여전히 우상향 곡선

금융당국과 은행권의 대출 문턱이 높아지면서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됐다. 신용대출 등의 한도를 축소하며 대출의 빗장을 걸어잠근 효과로 보인다. 하지만 여전히 주택담보대출, 전세자금대출이 늘어나면서 가계대출 증가세는 우상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1일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이 발표한 10월 여신 계수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가계대출 잔액은 706조3258억 원으로 전월 기록한 702조8877억 원보다 3조4381억 원 증가했다.

지난달 가계부채 상승폭은 올해 하반기 들어 가장 작다. 가계대출 전월대비 증가폭은 7월 6조2009억 원, 8월 3조5068억 원, 9월 4조728억 원을 기록한 바 있다.

10월 주담대 증가세는 여전히 잡히지 않았다. 지난달 주담대 규모는 501조2163억 원으로 전월(497조4174억 원)보다 3조7989억 원 늘어났다.

지난달 은행계정의 전세자금 잔액 역시 122조9710억 원으로 전월보다 1조5402억 원 늘었다.

같은 기간 집단대출은 155조4964억 원으로, 전월보다 514억 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반면, 신용대출은 감소세로 전환했다. 10월 말 신용대출 잔액은 140조8279억 원으로, 전월(140조9999억 원)보다 1720억 원 줄어들었다. 은행권은 신용대출 한도를 연 소득 이내로 줄이고, 한도대출(마이너스통장) 역시 5000만 원까지만 내어주는 등 신용대출 증가세를 잡기 위한 다양한 방책을 내놓은 바 있다.

향후 은행권의 가계대출 증가세가 완전히 꺾일지는 미지수다. 연말까지 대출 여력이 없는 은행권이 대출 문턱을 높이고 있지만, 내년부터 대출이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어서 미리 대출을 받으려는 가수요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내년도 가계부채 증가율 목표를 4~5%로 설정하고 차주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ㆍ연간 대출 원리금 상환액을 연소득으로 나눈 값) 규제 강화를 예고한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