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3040 고용률 OECD 38개국 중 30위…"무너지는 경제허리"

입력 2021-10-13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3040 고용률 17년부터 감소…구직단념이유 "일거리가 없어서"

한국 경제의 허리 역할을 하는 30~49세 취업자 수와 고용률이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3040 고용률이 OECD 38개국 중 30위로 나타나 3040을 위한 일자리 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통계청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3040 취업자 수가 지난 5년간 연평균 1.5% 감소했다고 13일 밝혔다.

한경연에 따르면 3040 취업자 수는 2010년 이후 2014년까지 증가 추세를 보이다가 2015년부터 감소했다. 3040 고용률은 지난 5년간 0.7%포인트(p) 감소했으며, 2017년부터는 계속 감소하는 추세다.

우리나라 3040 고용률, OECD 38개국 중 30위로 하위권

OECD 국가들과 비교해도 우리나라 3040 고용률(76.2%)은 38개국 중 30위로 낮은 편이었다. G5 국가들과 비교해보면, 독일 85.8%, 일본 85.1%, 영국 85.1%, 프랑스 81.9%, 미국이 76.6%로 한국과 큰 격차를 보였다.

추세적으로도 한국은 2015년 대비 2020년 고용률이 0.7%p 감소했지만, G5 국가인 독일(84.9 → 85.8%), 일본(82.4 → 85.1%), 영국(83.0 → 85.1%), 프랑스(80.8 → 81.9%)는 2015년 대비 2020년 3040 고용률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3040, 자영업 많은 숙박음식업 일자리 타격 커

산업별로 살펴보면 2019년 대비 2020년 3040 취업자가 가장 많이 감소한 산업은 숙박음식점업이었다.

숙박음식점업은 2019년 대비 7만6516명이 감소했고 교육서비스(-7만1102명), 도소매업(-5만3743명), 제조업(-5만406명)이 뒤를 이었다.

가장 많이 증가한 산업은 3만76명이 증가한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이었으며, 운수 및 창고업(2만1904명),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1만3425명) 순으로 증가했다.

2020년 기준 3040 취업자 비중이 높은 산업은 제조업(19.6%), 도소매업(14.1%), 교육서비스업(8.3%),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7.5%), 건설업(7.1%), 숙박음식점업(5.8%) 순이었다.

3040 구직단념이유는 "일거리가 없어서"

한편 3040 구직단념자는 2015년 12만9258명에서 2020년 17만1358명으로 증가했다. 특히 2018년부터 증가세가 두드러져 2년간 연평균 12.0%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3040 구직단념자들의 구직단념 이유는 ‘이전에 찾아봤지만 일거리가 없었기 때문에(35.2%)’가 가장 많이 꼽혔으며, 그 다음으로 ‘원하는 임금수준, 근로조건이 맞는 일거리가 없을 것 같아서(31.8%)’가 뒤를 이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가장 왕성하게 활동하는 세대인 3040의 고용 부진은 서민 가정의 생계 곤란은 물론 우리나라 경기회복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라며 “3040이 가장 많이 종사하는 제조업 일자리가 늘어날 수 있도록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