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용직 근로자 연평균 소득 808만 원…상용직 3744만 원 22% 수준

입력 2021-10-05 10:3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일용직 수 741만 명, 2년째 감소…100만 원 이하 30% 육박

▲서울 구로구 한 인력시장으로 일용직 노동자들이 모여 들고 있다. (뉴시스)

국내 일용직 근로자이 소득이 상용직 소득의 약 20%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평균 소득이 100만 원 이하인 소득자도 약 30%에 달했고, 일용직 수는 2년째 감소세를 보였다.

5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홍근 의원이 국세청의 2019년 귀속 근로소득 통계를 분석한 결과 해당 연도 일용근로자 740만6000명의 1인당 평균 소득은 약 808만 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해 상용근로자 1916만7000명의 평균 소득은 3744만 원으로 일용근로자의 4.6배에 달했다.

소득 구간별로 보면 일용근로자 가운데는 100만 원 이하 소득자가 213만3000명으로 가장 많았다. 연령별로는 30세 미만이 228만5000명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성별로는 남성이 54.7%의 의 비중을 나타냈다.

업종별로는 보면 건설업의 비중이 가장 컸다. 해당 연도 일용근로소득 지급명세서를 제출한 사업자 73만7422곳 가운데 18.1%는 건설사업자였다.

전체 일용근로자 규모는 최근 2년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용근로자는 2008년 738만1000명에서 2017년 817만2000명까지 늘었다가 이후 2018년 776만9000명, 2019년 740만6000명으로 2년 새 76만6000명 줄었다.

반면 상용근로자는 2009년 1429만5000명부터 2019년 1916만7000명까지 늘었다. 박 의원은 "문재인 정부 들어 일용근로자가 빠르게 감소하고 상용근로자는 큰 수치로 증가해 고용의 안전성이 높아졌다"며 "하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경제충격으로 직업 전환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일자리 보호에 필요한 재정을 충분히 투입하고 전 국민 고용보험 확대를 가속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