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4년 만에 강남 전셋값 3.3㎡당 2500만→4000만 원

입력 2021-09-01 18:2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문재인 정부 4년 만에 서울 강남구 아파트 전세 시세가 60% 가까이 올랐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강남구 아파트 평균 전세가는 3.3㎡당 4024만 원으로 조사됐다.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2017년 5월(2538만 원)과 비교하면 4년여 만에 1486만 원(58.5%) 올랐다. 전국 시·군·구 가운데 가장 큰 상승 폭이다.

실거래가를 봐도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에선 2017년만 해도 5억2000만 원에 전용면적 84㎡ 전세 계약이 체결됐지만 이젠 10억5000만 원을 줘야 같은 면적 전셋집을 구할 수 있다. 문재인 정부 들어 전셋값이 두 배 오른 셈이다.

다른 강남 지역에서도 전셋값이 가파르게 올랐다. 4년간 서초구와 송파구에선 3.3㎡당 전세 시세가 각각 57.6%(2432만→3832만 원), 55.7%(1880만→2926만 원) 상승했다.

전세 시장에선 진짜 고비는 내년이 될 것이라고 우려한다. 지난해 계약 갱신 청구권(세입자 1회에 한해 최장 2년간 전·월세 계약 연장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이 도입된 후로 2년이 지나기 때문이다. 지난해 계약 갱신 청구권을 사용한 세입자들은 그사이 급등한 전셋값을 감당하던지 매매나 월세로 발길을 돌려야 한다. 계약 갱신 청구권이 행사된 계약은 임대료를 5% 넘게 올리지 못하도록 한 전·월세 상한제 보호도 못 받는다.

황한솔 경제만랩 연구원은 “지난해 7월 말 시행한 임대차 2법(계약 갱신 청구권, 전·월세 상한제)과 가을 이사철, 재건축 이주수요가 겹치면서 전세매물 부족현상에 따른 전세가격 상승은 한동안 지속될 수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