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위기로 소비형태가 바뀌고 있다"

'20대 덜 먹고, 30대 덜 놀고, 40대 덜 입고'

세계금융위기로 인한 경기불황이 지속되면서 소비형태도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국내 가구 10곳중 8곳은 1년전에 비해 소비규모를 줄인 것으로 조사됐다.

28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수도권 520여 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최근 소비행태의 변화와 시사점' 조사결과에 따르면, 불황으로 국내 소비자들이 가장 먼저 지출을 줄인 부분은 의복 구입비가 20.5%로 가장 높았으며 문화·레저비(17.2%), 외식비(16.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녀과외비(2.3%)와 경조사비(0.9%)는 크게 줄이지 않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연령별로는 20대가 외식비, 30대가 문화·레저비, 40대는 의복구입비를 우선 줄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가구의 37.3%는 외식비를 우선적으로 줄이고 다음으로 식료품비(30.0%)를 축소한 반면 문화·레저비(2.7%)는 별 영향을 받지 않았다.

30대는 문화·레저비(28.1%)와 의복구입비(25.0%)를 줄였지만 경조사비(0.4%)는 크게 줄이지 않았다.

40대 가구에서 우선 지갑을 닫은 부분은 의복구입비(23.7%), 외식비(19.0%)순으로 나타났지만 자녀과외비를 줄인 가정은 단 1%에 불과했다. 50대는 식료품비(33.7%), 내구재(24.0%)를 줄인 반면 경조사비(0.7%)는 줄이지 않는다고 답했다.

아울러 국내 가구의 77.2%는 1년 전에 비해 소비규모를 줄였다고 밝혔다. 반면 소비규모가 비슷하다는 응답은 21.0%였으며 늘었다는 응답은 1.7%에 불과했다.

소비를 줄이게 된 원인으로는 가계부채 증가가 42.5%로 가장 높았으며 근로소득 감소(28.3%)와 경기 불안(23.3%) 등의 순으로 답했다. 그러나 가계대출 축소(2.5%)와 주식펀드 등 금융소득 감소(2.5%)라고 응답한 가구는 그리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가정의 가장 큰 고민거리로 27.2%가 직장문제를 들었다. 직장문제 다음으로는 경제적 어려움(24.5%), 자녀문제(14.5%), 미래에 대한 불안(14.3%), 건강(13.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경기가 본격적으로 회복되는 시기에 대해서는 응답가구의 49.3%가 내년 상반기를, 27.0%는 내년 하반기를 꼽았다. 올해 하반기라고 한 응답가구는 9.4%에 불과했다.

최근 정부의 소득세 및 자동차 개별소비세 인하 등의 다양한 소비유인책에 대해 응답가구의 대부분인 81.3%)가 소비지출에 별 도움을 주지 못한다고 대답했다.

소비 진작을 위해서는 경기가 회복돼야 한다는 응답이 31.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근로소득세 추가 인하 등 세제지원(29.3%), 고용안정(18.2%) 등이 필요한 것으로 집계됐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이번 조사를 통해 경기 침체로 국민들의 소비규모가 크게 줄어들었음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며 "소비를 늘리기 위해서는 금리 인하, 대출만기 연장 등 가계대출 부담을 완화해 줄 수 있는 방안의 검토가 필요하고 고용창출 및 소득세율 인하 등 좀 더 과감한 세제지원을 통해 가처분소득을 늘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정부지원이 소비에 미친 영향(단위:%)>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